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한국아동가족복지학회.jpg
KCI등재 학술저널

중년독신여성의 성공적 노화에 대한 인식과 준비에 대한 질적 연구

A Qualitative Study of Unmarried Middle-Aged Women’s Perceptions and Preparation Efforts for Successful Aging

  • 23

본 연구는 중년독신여성의 성공적 노화에 대한 인식과 성공적 노년생활 준비에 관한 질적 연구이다. 심층면접을 통해서 연구 자료가 얻어졌고, 자료 분석은 Strauss 와 Corbin(1990)이 제안한 지속적 비교 분석방법(constant comparative analysis)을 사용하였다. 연구 참여자는 눈덩이 표집방법을 사용하여 40-50대의 연령으로, 결혼경험이 없는 미혼독신여성들 7명이 선택되었다. 연구의 결과는 크게 3개의 주제로 다음과 같이 범주화되었다: (1) 노화에 대한 인식- 나이듦의 편안함과 막막함 (2) 성공적 노화에 대한 인식- 삶의 부벽이자 존재의미로서의 일하기, 가족 밖에서 사람 울타리 만들기, 꿈을 실현하거나 취미활동하기, 몸과 마음이 건강한 노인 되기 (3) 성공적 노화에 대한 준비- 생각해 본 적 없음, 관념적 준비, 생애과정상의 현실적 준비, 독신의 득과 실. 본 연구는 기혼과 노년기 성인들로 국한된 성공적 노화의 개념을, 중년 독신자들의 관점에서 재구성할 필요성을 제기하는 이론적 의의를 가진다. 또한 가족중심과 결혼지향적인 한국문화 속에서 독신으로서 노화를 경험하는 과정에서 가지게 되는 중년독신여성의 심리․정서적인 문제에 개입하고, 더불어 중년독신자들이 성공적 노화를 적절히 준비할 수 있는 예방교육 및 사회서비스 제공을 설계하는 실천적 의의를 가진다.

This study seeks to explore unmarried middle-aged women’s perceptions of successful aging and their preparation efforts for successful aging. The data were collected by in-depth interviews with seven participants. The seven participants were unmarried middle-aged women 45 to 52 years old. They were invited to participate in the study through a snowball sampling method.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by a constant comparative analysis. The findings were categorized into the following three themes: (1) the perception of aging- comfort and difficulty, (2) the perception of successful aging- working for support and meaning in life; making social relationships outside the family; making one’s dreams come true and engaging in leisure activity; being healthy when older both physically and mentally, (3) preparation for successful aging- no preparation; abstract preparation; practical preparation; and benefits and drawbacks from one’s unmarried status. This study has a theoretic significance in that it can expand the existing conception of successful aging from the perspective of unmarried middle-aged women. In addition, this study has practical significance because it can intervene in the psychosocial problems unmarried middle-aged women face in a family- and marriage-centered culture. Social programs should be developed to educate unmarried middle-aged people regarding successful aging.

Ⅰ. 서 론

Ⅱ. 문헌고찰

Ⅲ. 연구방법

Ⅳ. 연구결과

Ⅴ. 결론 및 논의

참고문헌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