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한국아동가족복지학회.jpg
KCI등재 학술저널

다문화 전문인력 양성 교육과정 개발에 관한 연구

The Study of Curriculum Development for a Multicultural Service Professional

향후 다문화 전문인력에 대한 수요가 점차 증가할 것으로 전망되는 시점에, 본 연구는 현장에서 요구되는 다양한 다문화 전문 인력의 개념과 역할을 규정하고, 이들을 양성하는데 필요한 체계적인 교육과정 개발을 위한 연구를 진행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연구방법은 다양한 유형의 다문화 전문 인력의 개념과 역할, 이들을 양성하기 위한 교육과정을 개발하기 위해, 전문가 집단 델파이조사방법와 포커스그룹 인터뷰를 활용하였다. 델파이조사에 참여한 전문가는 모두 38명이었고, 조사결과는 빈도분석과 기술통계, t 검증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포커스 그룹에 참여한 전문가는 모두 13명이며, 2팀으로 나누어 진행되었으며, 수집된 자료는 내용분석(content-analysis)방법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결과는 첫번째로 다문화전문 인력은 다문화가족전문가, 한국어지도사, 아동양육지도사, 다문화이해교육강사 등 4가지로 유형하였다. 두 번째로 다문화 전문인력 양성을 위한 교육과정은 다문화가족전문가는 가족복지 관련 국가자격증인 건강가정사를 활용하는 방안과 신규로 국가자격제도를 도입하는 방법, 국가공인 민간자격제도를 도입하는 방법을 제안하였다. 한국어지도사와 아동양육지도사는 기존의 한국어교원 자격증 또는 보육교사 자격증을 소지하고 있는 자를 대상으로 다문화가족 이해와 관련된 추가교육이 필요하다고 나타났다. 그리고 다문화이해 교육강사 양성과정은 기존의 양성과정과 지역 다문화가족지원센터가 연계하여 양성하는 것이 바람직한 것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concept, roles and curriculum development of multicultural service professionals. The data were collected using a Delphi method and by focus group interviews. 38 multicultural professionals participated in the Delphi activity and 13 multicultural professionals participated in a focus group interview.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by a content analysis.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multicultural service professionals were classified into four types. The four types were multicultural family professionals, language teachers, professionals who were rearing children and instructors of multicultural studies. Second, multicultural family professionals used a certificate for a healthy family center worker and made a new certificate for a multicultural family. Korean language teachers, professionals who were rearing children and instructors of multicultural studies required supplementary education.

Ⅰ. 서 론

Ⅱ. 선진국의 다문화 전문인력 양성 교육과정

Ⅲ. 우리나라 다문화 전문인력 양성교육과정 현황

Ⅳ. 다문화전문 인력의 유형과 교육과정

Ⅴ. 결론 및 정책적 제언

참고문헌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