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출산 시대 모성에 대한 고찰 - 학지사ㆍ교보문고 스콜라
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논문
인격주의 생명윤리 14권 2호.jpg
KCI등재 학술저널

저출산 시대 모성에 대한 고찰

Study on Motherhood in an Era of Low Birth Rates: Focusing on Feminism and Personalism Perspectives

DOI : 10.35230/pb.2024.14.2.59

초록

오늘날 한국 사회는 저출산의 위기에 직면해 있다. 극심한 경쟁 체제와 보수적인 가족주의로 인한 남녀 갈등은 국가적 과제로 부상한 저출산 문제의 주요한 원인으로 거론되고 있다. 남녀 갈등에 영향을 끼친 사상적 배경으로 여겨지는 급진적 여성주의는 모성을 도구화하는 정부의 출산정책에 대한 반발로 등장하였지만 모성으로부터의 해방을 주장하는 급진적 여성주의의 주장은 사회 갈등의 원인이 되고 있다. 이와 같은 시점에 모성에 대한 가치를 새롭게 발견하는 것은 중요한 함의를 지닌다. 여성주의 안에서도 모성을 여성에 대한 통제 기제로 보고 모성으로부터의 해방을 주장하는 시각만 존재하는 것은 아니다. 1980년대 이후 여성주의 안에서 모성을 보다 다각적으로 이해하려는 노력이 진행되고 있으며, 돌봄의 가치를 모성 안에서 발견함으로써 모성을 사회적인 가치로 제시하려는 움직임이 있다. 이러한 관점은 돌봄의 영역을 남성과 여성의 공동 영역으로 제시하고, 치열한 경쟁 사회 안에서 약한 이들의 ‘돌봄 받을 권리’를 부각시키는 긍정적인 의미가 있다고 여겨진다. 그러나 돌봄이 남녀 모두에게 중요한 가치로 자리잡기 위해서는 모성 속의 돌봄의 가치를 제대로 이해할 필요가 있다. 모성을 여성의 탁월한 속성으로 이해하며, 남녀 간 상호 보완적 관계를 보여주는 인격주의적 관점은 남성 역시 모성을 통해서 부성을 배움으로써 돌봄의 영역에 보다 적극적으로 참여하는데 도움이 될 것이다.

Today, Korean society is facing a crisis of low birth rate. Conflict between men and women caused by an intense competitive system and conservative familism is cited as a major cause of the low birth rate problem, which has emerged as a national issue. Radical feminism, which is considered an ideological background that influenced the conflict between men and women, emerged as a backlash against the government's reproductive policy that instrumentalizes motherhood, but its argument for liberation from motherhood is becoming a cause of social conflict. At a time like this, discovering a new positive view of motherhood and its value has important implications. Even within feminism, there is not only a perspective that views motherhood as a control mechanism for women and advocates liberation from motherhood. Since the 1980s, efforts have been made to understand motherhood more diversely within feminism, and there is a movement to present motherhood as a social value by discovering the value of care within motherhood. This perspective is believed to have a positive meaning by presenting the area of care as a common area for men and women and highlighting the ‘right to care’ of the vulnerable in a fiercely competitive society. However, in order for care to become an important value for both men and women, it is necessary to properly understand the value of care within motherhood. The personalist perspective, which understands motherhood as an outstanding attribute of women and shows a complementary relationship between men and women, will help men participate more actively in the area of care by learning about fatherhood through motherhood.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