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스토리콘텐츠 5집.jpg
학술저널

1950~60년대 문화영화 애니메이션 연구

A Study on Cultural Films Animations from the 1950s to the 1960s: Focused on the National Film Production Center

DOI : 10.56659/kcsc.2024.07.31.135
  • 32

본 논문은 국립영화제작소가 제작한 문화영화의 애니메이션이 한국영화사의 뒤안길로 사라지고 있는 상황에서 재목록화의 필요성을 제기한다. 국가 정책을 선전할 의무가 있었던 국립영화제작소의 성격을 고려했을 때, 문화영화가 언제 제작되었는지는 물론, 누가 작화를 담당했는지 정확하게 밝힐 필요가 있는데도 불구하고 문화영화를 소개하는 기관별로 기본 정보가 조금씩 차이를 보이기 때문이다. 먼저 1950년도부터 1980년대까지 시대별로 발행된 기사를 중심으로 국립영화제작소의 단편 애니메이션이 당대 지녔던 위치를 파악하고, 그 시작과 쇠퇴를 다룬다. 이 과정에서 최초의 문화영화 애니메이션을 <쥐를 잡자>(1959.9)가 아니라, <아까시아를 심자>(1959.4)로 봐야 한다고 주장한다. 더불어 국립영화제작소 소속이었던 애니메이션 제작자들이 민간 영화사로 이적하고, 정부가 만화를 온당하지 못한 것으로 취급했던 시대 상황을 문화영화 애니메이션이 쇠퇴한 원인으로 꼽는다. 마지막으로 문화영화 애니메이션의 일부가 대한뉴스에 수록되었음을 발견하고 그 내용을 비교하며, 동일한 애니메이션이라고 할지라도 상영 시기에 따라 드러내는 메시지가 달라진다는 사실을 밝힌다. 이로써 본 논문은 문화영화 연구의 지평을 넓혀야 한다고 제안한다.

This paper argues for the need to re-catalog animations in cultural films produced by the National Film Production Center, which are fading into the mists of Korean film history. Given the center’s obligation to promote national policies, it is essential not only to specify when these cultural films were made but also to accurately identify the artists involved in the animations. However, the basic information varies among institutions that introduce these cultural films. First, the role of short animations produced by the National Film Production Center from the 1950s to the 1980s is examined in this paper, with their inception and decline being analyzed through articles published in each era. This paper argues that the first cultural film animation should be identified not as “Cartoon of Killing Rats” (September 1959), but as “Acacia Tree Growing in Korea” (April 1959). Moreover, the migration of animators from the National Film Production Center to private film companies and the government’s dismissive attitude towards cartoons are cited as reasons for the decline. Finally,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animations in cultural films and contemporary short animations featured in Daehan News (Korean News) is explored. This paper advocates to expand the research horizons of the cultural films.

Ⅰ. 서론

Ⅱ. 문화영화로서 애니메이션의 위치

Ⅲ. 문화영화 애니메이션의 시작과 쇠퇴

Ⅳ. 문화영화 애니메이션과 대한뉴스

Ⅴ. 결론

참고문헌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