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생태환경과 역사 제12호.jpg
KCI등재 학술저널

조선시대 충재의 생태환경사적 고찰

A Study on the Ecological and Environmental History of Choongjae in the Joseon Dynasty

DOI : 10.23202/jeeh.2024..12.001
  • 5

본 연구는 역사서 중 조선왕조실록에 기록된 황충과 충재에 대한 기록을 발생한 년 월, 발생원인, 피해 정황, 대처방안, 피해자원 순으로 데이터베이스화하여 황충 대발생으로 인한 조선시대 충재의 성격과 발생 원인을 분석하여 식식성 곤충과 인간의 생태환경사를 고찰하고자 하였다. 곤충 대발생의 원인은 기후환경의 변화, 생태계의 먹이사슬 관계에서 먹이식물인 농작물 재배의 확장, 천적이 없는 곳으로의 외래 개체군의 도래 등이 포함된다. 데이터베이스화한 조선왕조실록에서 충재 발생과 관련된 기후환경의 변화는 기후 현상에 대한 기록, 먹이식물의 증가는 충재가 가해한 농작물들의 피해 현황, 천적의 감소는 비래해충의 증가, 해외무역 증가 등 충재 발생이 빈번한 지역의 생태적 특성을 통해 파악하고자 하였다. 조선시대 447년 가운데 170년간의 충재 발생 기록에 의하면, 황충은 평균 2.6년의 주기로 대발생하였고, 발생 원인은 재이사상보다는 자연현상에 의해, 대처 방안으로 포제뿐 아니라 포획이 증가한 것을 알 수 있었다. 1.5년 주기로 가장 빈번히 발생하였던 시기는 15세기 초 태종과 17세기 숙종 대였다. 특히 숙종 재위기간 중 20여 년간의 지속적인 황충 발생은 조선시대 가장 큰 기근인 경신대기근, 을병대기근 시기와 겹쳐 심각한 재해로 인식되었을 것이다. 황충 발생에 대한 피해 작물로 벼가 가장 많이 기록되었다. 그 외 조, 수, 기장, 보리, 밀 등의 벼과 밭작물과 콩, 목화 등의 주요 작물의 피해도 기록되어 당시 농작물 재배가 확대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발생지역으로 평안도, 황해도가 가장 많은 이유로 경작지의 확대, 중국에서 날아오는 비래해충으로 인한 피해, 상대적으로 높은 왕실 소유 토지 비율, 중국 과의 주요 무역지 등 다양한 원인을 추정해 보았으나, 황충에 대한 기록만으로 당시 황충의 천적이 감소한 원인을 찾기는 어려웠다. 본 연구 결과, 고려시대 황충은 농업, 산림해충을 통칭했다면, 조선시대의 산림해충은 송충으로 분리하여 인식하였고, 황충은 저작형과 흡즙형 농업해충으로 구분하였다. 곤충 대발생의 원인 중 기후변화와 천적의감소는 조선시대 황충에 대한 기록만으로는 충재와의 관련성을 찾기가 어려웠다. 다만 농경활동 확대는 황충의 먹이식물을 증가시킨 것으로 충재 발생의 원인으로 보인다. 따라서 일반적인 자연재해와는 달리 충재는 농경지 확대 등 인간의 활동과 관련이 있었던 것으로 사료된다.

This study attempts to deduce the main causes of agricultural crop pests or Hwangchoong, the degree of damages to the Joseon people and the governing actions by the Kingdom to countermeasure those damages based on the Annals of the Joseon Dynasty. Choongjae, an outbreak of an agricultural insect pest, usually occurs when the climate meets optimal growing condition of a pest, the host crop proliferates due to increase of cultivations, or the reduced natural enemies present around the habitats, Accordingly, information regarding climate conditions, types and areas of cultivated crops, and occurrence or outbreaks or a pest was retrived from the Annals of Joseon Dynasty. Lastly, causes of reduced natural enemies in certain era were inferred with the concurrent climate or political conditions. On the Annals of Joseon Dynasty, Hwangchoong, an agricultural pest, was documented during 170 year across the total 447 years. Arithmetically, this indicates Hwangchoong occurred during the Joseon Dynasty, at approximately every 2.6 years. the records of Hwangchoong or Choongjae were more frequent the 15th and 17th centuries. In the 15th century, King Taejo, the first king of Joseon, erected the Dynastyof Joseon as an agriculture-orient kingdom. Thereafter, Joseon had promoted co cultivate various crops in expanded arable fields. Hwangchoong included not only pests of rice but also as pests of many other cereal crops such as millet, sorghum, barley and wheat, and even those of and beans and cottons. In 17th century when Joseon was under King Sukjong’s regime, Hwangchoong or Choongjae was documented continuously for more than 20 years, which occurred at the same time with the two major famine periods of Joseon. Concentrated records of Hwangchoong or Choongjae were in two Northwestern provinces, Pyeongan province and Hwnaghae province, which are possibly related to the development of cultivation fields in the areas, insect pests that were migrated from China, pests moved as on imported Chinese commodities or on merchants’ parcels, or higher densities of survey according to the value of properties including some royal families’ in those areas.

머리말

1. 조선시대 충재의 성격

2. 조선시대 충재의 원인

맺음말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