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논문은 현재 우리나라 공교육으로의 도입 이슈에 관심이 커지고 있는 IB와 관련하여 고등학교 급에 해당하는 DP 과정의 점수 체계를 살펴보고, IB 점수가 어떻게 활용되는지를 알아보는 데 의의가 있다. 이 논문에서는 IB DP점수의 구성과 산출 방법 그리고 대입에 활용되는 IB 점수의 유형인 학교별 평가, IB 최종 점수, IB 예상 점수에 대해 설명하였다. 덧붙여 IB Exam 결과 발표와 대학 입학 일정의 불일치 등과 같은 일부 도전 요소가 있음에도 IB DP 점수를 입학요건으로 인정하는 경우는 언제인지 등 IB DP 점수의 활용 방법에 대해 기초적 정보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연구에서 활용한 예시는 영국, 홍콩, 캐나다 소재 대학들이 IB 예상점수 또는 IB Exam 점수를 활용하는 방법에 대해 소개하였다. 이는 구체적으로는 조건부 합격(Conditional Offer)과 확정 합격(Confirmed Offer)라는 두 가지 조건에 대해 탐색함으로써 제안되었다. 본 연구는 IB의 국내 대학 입시와는 무관하게, IB DP가 당장에 보여주는 결과와는 달리 그 체계에 대한 이해, 선행연구가 부족한 것 같다는 데서 결과가 나오기까지의 도출 과정에 대해 충분한 맥락적 고려가 필요함을 보여주기 위해 실시된 연구이다. 특히 국내 DP 졸업생이 배출되기 시작한 현시점에서 IB DP 점수의 활용에 대한 다각적 검토가 이루어지는 참고 자료로서 기여하기를 기대하며, 이를 통해 후속 연구로의 교두보적 역할을 할 수 있기를 기대한다.
This paper aims to examine the cases of university admission utilizing the International Baccalaureate Diploma Programme (IB DP) scores as interest in the introduction of IB into the Korean public education system is growing. Furthermore, as mentioned in the introduction of the study, this research was conducted to demonstrate that, regardless of its relevance to domestic university admissions, the IB requires sufficient contextual consideration in the process leading to outcomes, unlike the immediate results it shows. It appears that there is a lack of understanding and prior research regarding its system. It is meaningful in providing an understanding of the ways in which diploma scores can be utilized for university admission. To achieve this, this paper explained the composition and calculation method of the IB scores, as well as the types of IB scores used for university admission, including school-based assessment, final IB scores, and predicted IB scores. Additionally, it attempted to provide fundamental information on the methods of utilizing IB scores. The examples used in the study introduced the methods by which universities in the UK, Hong Kong, and Canada utilize the predicted IB scores or IB exam scores. Specifically, this was suggested by aligning the two conditions of conditional offer and confirmed offer This study is expected to serve as a basic resource for university admission, as it is inseparable from IB, just like high school-university linkage. The study aims to contribute as a reference for multi-faceted reviews of IB, especially at a time when the first domestic IB graduates are being produced in South Korea.
Ⅰ. 들어가며
Ⅱ. IB DP(Diploma Programme)의 개요
Ⅲ. 연구 내용
Ⅳ. 요약 및 결론
참고문헌
(0)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