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한국고대사탐구 제46집.jpg
KCI등재 학술저널

『日本書紀』에 보이는 百濟의 정변에 대한 고찰

A Study on Baekje's Political Coups in the Nihon shoki

DOI : 10.35160/sjekh.2024.4.46.83.
  • 42

본고는 『日本書紀』를 통해 살펴볼 수 있는 백제의 정변 기록을 『三國史記』의사료와의 상호 비교·검토를 통해 고찰해보았다. 우선 4세기말에는 왕위 찬탈로 인해 진사왕이 즉위한 정황과 정변에 의한 진사왕의 죽음으로 아신왕이 즉위한 상황을 살펴볼 수 있다. 다만, 진사왕의 사망과아신왕의 즉위에 왜국이 개입한 것처럼 씌어 있는 『日本書紀』의 기록은 후대 찬자에 의한 蕃國사관에 의해 윤색되었기 때문에 사실로 보기 어려우며 오히려 木氏를비롯한 백제인들의 관여에 의한 정변일 가능성이 보인다. 5세기초에는 구이신왕의 죽음과 비유왕의 등극을 통해 백제의 정변을 살펴볼 수 있다. 재위기간이 8년밖에 되지 않았던 구이신왕이 즉위할 당시 幼年이었다는기록을 통해 비유왕은 구이신왕의 아들이라기보다는 『三國史記』 분주에 보이는기록과 같이 전지왕의 서자로 볼 수 있다. 더욱이 구이신왕이 재위 8년만에 갑자기서거를 했던 정황과 『日本書紀』에서 木滿致와 酒君이 왜국으로 건너갔던 상황을통해 비유왕에 의한 정변을 상정할 수 있을 것이다. 6세기 백제의 정변을 살펴볼 수 있는 것으로는 동성왕의 사망과 무령왕 즉위관련 기록이 있다. 『三國史記』에서는 苩加가 앙심을 품고 동성왕을 시해했다고 기록하고 있으며 『日本書紀』에는 동성왕이 무도하고 백성에 포악해서 정변에 의해죽었던 상황으로 기재되어 있다. 더욱이 苩加에 의해 동성왕이 시해된 후 무령왕이곧바로 즉위를 하게 된 정황을 통해서는 동성왕의 시해 사건의 배후에 무령왕이개입되었을 가능성이 높다. 7세기초의 경우에는 『日本書紀』에 보이는 翹岐 관련 기록을 통해 백제의 정변을 살펴볼 수 있다. 翹岐는 의자왕에 의해 섬으로 추방되었다가 왜국으로 피신하였던 인물인 것으로 판단됨에 따라 의자왕대 초기에 전제왕권을 확립하기 위해 친위쿠데타적 성격의 정변이 있었음을 확인할 수 있다. 이상 『日本書紀』에 보이는 기록 중 진사왕의 왕위 찬탈과 비유왕에 의한 정변, 의자왕의 친위쿠데타 등은 『三國史記』를 통해서는 확인하지 못했던 기록이다. 백제멸망 후 백제유민들에 의해 전해진 백제측의 사료를 통해 『日本書紀』가구성되었다고 추측되는 만큼 『日本書紀』에 나오는 백제 관련 사료에 대한 면밀한 검토를 필요로 하고 있다.

This article is to study on the records of Baekje's political coup in the Nihon shoki and to examine them through mutual comparison and review with historical records of the Samguksagi . First of all, at the end of the 4th century, we can look at the circumstances of King Jinsa's accession by the usurpation of throne and the situation in which King Asin was enthroned due to the death of King Jinsa by political coup. However, the record of the Nihon shoki, written as if Yamato Wa intervened in the death of King Jinsa and the accession of King Asin, is difficult to be seen as true because it was embellished by the later writers, and rather, it is likely to be a coup caused by the involvement of Baekje people, including Mok clan. In the early 5th century, the Baekje's political coup can be examined through the death of King Guisin and the ascension of King Biyu. According to the record that King Guisin, who had been in office for only eight years, was at a young age when he ascended the throne, King Biyu can be seen not the son of King Guisin, but rather the son of King Jeonji, as shown in the footnotes of the Samguksagi. Moreover, it is possible to assume a political coup caused by King Biyu through the circumstances in which King Guisin suddenly died after eight years of his reign and the situation in which Mokmanchi and Jugun moved to Yamato Wa. As the political coup of Baekje in the 6th century, there are records related to the death of King Dongseong and the accession of King Muryeong to the throne. In the Samguksagi, it is recorded that Baekga killed King Dongseong with a grudge and in the Nihon shoki, it is stated that King Dongseong was killed by political coup because he was cruel and violent toward the people. Moreover, it is highly likely that King Muryeong was involved behind the murder of King Dongseong because of the circumstances in which King Muryeong immediately ascended the throne after the murder of King Dongseong by Baekga. In the early 7th century, Baekje's political coup can be examined through records related to Gyogi in the Nihon shoki. As it is judged that Gyogi was a person who was deported to the island by King Uija and then fled to Yamato Wa, it can be confirmed that there was a palace coup in order to establish the absolute monarchy in the early days of King Uija. As described above, among the records shown in the Nihon shoki, King Jinsa's accession by the usurpation of throne, the coup by King Biyu, and King Uija's palace coup could not be confirmed through Samguksagi. As it is presumed that the Nihon shoki was formed through Baekje's historical records handed down by Baekje immigrants after the destruction of Baekje, a close review of Baekje-related historical records from the Nihon shoki is necessary.

Ⅰ. 머리말

Ⅱ. 진사왕, 아신왕대의 정변

Ⅲ. 구이신왕, 비유왕대의 정변

Ⅳ. 동성왕, 무령왕대의 정변

Ⅴ. 의자왕대의 정변

Ⅵ. 맺음말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