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한국고대사탐구 제46집.jpg
KCI등재 학술저널

신채호의 후고구려·궁예 인식

Perception of Later-Goguryeo and Gungye in Shin Chae-ho

DOI : 10.35160/sjekh.2024.4.46.473.
  • 49

이 글은 단재 신채호의 여러 저작에 보이는 궁예·후고구려 관련 서술을 매개로, 그가 이들을 어떻게 인식했는지 살펴보기 위한 시도이다. 검토의 결과 다음과같은 점들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신채호는 김부식의 『삼국사기』와 이에 영향을 받아 형성된 후대의 사서를 ‘구사학’으로 일컬으며 사대주의의 온상으로 지목하였다. 따라서 궁예·후고구려에 관한 한 ‘1차 사료’로서의 위상에 있는 『삼국사기』의 정보에 대한 깊은 회의감이 있었다. 그는 저작물 곳곳에서 궁예와 관련한 기록이 조작되었다는 이른바 ‘조작설’ 을 언급하였는바, 이를 통해 이들에 대한 기존의 인식을 뒤엎을만한 계기를 마련했다고 파악하였다. 소설 「일목대왕의 철퇴」를 통해 신채호는 궁예를 신라가 아니라 ‘고구려의 후예’로 새롭게 설명하였다. 이는 명백히 근거가 없는 ‘탈역사적’ 인식이다. 다만, 그가 우리나라의 북방 계통 국가를 중심으로 고대사를 체계화하고자 했던 점, 연개소문과 같이 ‘구사학’에서 비판적으로 서술된 자들을 적극적으로 재해석하고자 했던점을 감안했을 때, 고구려 중심의 일통을 희구한 후고구려의 지향을 적극 고려한재인식의 결과로 이해하였다. 끝으로 궁예의 축출과 후고구려의 말로를 ‘신불교 개혁’에 따른 구세력의 반동으로 설명한 인식에 주목하였다. 신채호는 그 누구보다도 ‘우리 것’에 대한 강한 집착이 있었는바, 사서에 보이는 불교 관련 궁예의 행적을 ‘자주성’의 맥락에서 개혁의 일환으로 이해했다고 판단하였다. 즉, 신채호는 미륵관심법이나 철퇴로 대변되는 궁예의 ‘공포정치’를 개혁의 과정에 필연적으로 수반되는 조처로 보았던 것이다. 이처럼 신채호는 후고구려·궁예에 대해 전근대와는 전혀 다른 인식을 보여주었다고 할 수 있는바, 역사적 실제와 거리가 있는 이 해석은 일제강점기라는 당대의 현실이 반영된 ‘제한된 진실’인 것이다.

This article is an attempt to examine how Shin Chae-ho perceived them through the descriptions of Gungye and Later-Goguryeo in his various works. As a result of the review, the following points were confirmed. Shin Chae-ho referred to Kim Bu-sik’s Samguk-Sagi and the later historical books that were influenced by it as ‘Gusahak’(舊史學) and pointed out that it was a hotbed of toadyism. Therefore, there was deep skepticism about the information in the Samguk-Sagi, which has the status of ‘primary historical records’ regarding Gungye and Later-Goguryeo. He mentioned the so-called ‘manipulation theory’ that the records related to Gungye were fabricated throughout his work, and this article understood that this provided an opportunity to overturn the existing perception of them. Through the novel “The Iron Mace of One-eyed King”, Shin Chae-ho newly explained that Gungye’s origins were not from Silla but as descendants of Goguryeo. This is clearly an ‘ahistorical’ perception with no basis. However, considering that he attempted to systematize ancient history centering on Korea’s northern lineage states and that he actively attempted to reinterpret those who were critically described in ‘Gushahak’ such as Yeongaesomun(淵 蓋蘇文), he hoped for a unity centered on Goguryeo. It was understood as the result of a re-perception that actively took into account the goals of Goguryeo. Lastly, attention was paid to the perception that the expulsion of Gungye and the fall of Later-Goguryeo were explained as ‘New Buddhism reform’ and the resulting reaction of the old powers. As Shin Chae-ho had a stronger obsession with ‘our things’ than anyone else, he judged that Gungye’s actions related to Buddhism shown in the historical records were understood as a part of reform in the context of ‘independence’. The reign of terror represented by Maitreya’s Psychic Power(彌勒觀心法) or the Iron Mace(鐵 槌) was also seen as a measure that inevitably accompanied the process of such reform. It can be said that Shin Chae-ho showed a completely different perception of Later-Goguryeo and Gungye from the pre-modern era, and we must not lose sight of the fact that this interpretation, which is far from historical reality, is a ‘limited truth’ that reflects the special reality of the Japanese colonial era.

Ⅰ. 머리말

Ⅱ. 관련 기록의 조작설 제기와 재인식의 단초 마련

Ⅲ. 고구려 중심의 고대사 인식과 出自의 새로운 해석

Ⅳ. 패망 원인의 재해석과 영웅·非영웅의 양면적 서사

Ⅴ. 맺음말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