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고는 세종대 『성리대전』 도입의 지적 기반과 주희 문헌 활용 양상을 살핌으로써, 신국가 조선의 체제 정비에 미친 성리학의 영향력을 확인하고자 했다. 고려 말 주희 문헌 활용은 체제개선과 개혁이라는 입장 차에 따라 원 관학 성리학풍을 중시하는 이색-권근 계열과 남송 성리학을 수용한 정도전 계열로 분화되었다. 이러한 분화는 조선건국, 왕자의 난이라는 이 시기 정치적 대립을 낳았을 낳았고, 후자가 관학의 주류 흐름으로 정착했다. 원 관학 성리학풍에 입각한 주희 문헌 활용은 세종대 『성리대전』의 도입으로 한 단계 진전한다. 조선 정부는 『성리대전』을 통해서 신국가 조선의 관학 체계, 정치제도를 확립하고자 했다. 그리고 『성리대전』에 수록된 저본들을 통해서 주희의 입장에 기반한 사서오경 해석의 기풍을 확대시켜 나갔다. 세종 정부는 『성리대전』수용을 통해서 군주 주도의 정치 이념을 형성했다. 이는 『성리대전』에 반영된 군사(君師)의 정치론을 변용해서 유교 보편의 이념인 명분론을 바탕으로 군주를 중심으로 한 공적인 기강을 정립하고자 한 것이었다. 이를 토대로 세종 정부는 예제 정비, 부민고소금지법, 육형 실시 등에 주희의 언설을 폭넓게 활용해서 집권체제의 상하 수직적 질서를 유지할 수 있는 공적 기강을 바로잡고자 했다. 그리고 집권체제의 물적 토대로서 소농들의 생계 보장책을 마련해 국가의 재정을 충실히 할 방편으로 공법이 논의되었다. 이때 『성리대전』 인용을 통한 공법 시행 관철은 국가의 강화된 집권력을 바탕으로 소농을 보호하고자 했던 지향이 점차 지주 중심으로 정리하는데 기여했다. 이와 함께 사창제 시행 논의에서 제한적이나마 지주 중심, 재지사족 중심의 집권체제 운영론이 도출되기도 했다. 정리하자면, 세종대 『성리대전』·『사서오경대전』을 중심으로 한 주희 문헌 활용은 집권체제의 상하 수직적 질서를 확립하고 지주제를 안착시키는데 기여한 것이었다.
This study sought to confirm the influence of Neo-Confucianism on the establishment of the system of the new nation of Joseon by examining the intellectual basis for the introduction of Sungleetaejeon (性理大全) during the reign of King Sejong and the patterns of utilization of Zhu Xi (1130-1200) literature. Sejong's government formed a monarch-led political ideology through the acceptance of Sungleetaejeon. Based on this, the Sejong government widely used Zhu Xi's remarks in matters such as the maintenance of Rituals Protocols (禮制), the Law of Prohibiting Accusations against Chief Magistrates by People and Local Ruling (部民告訴禁止法), and the implementation of Ròuxíng punishments (肉刑). And as a material basis for the ruling system, public law was discussed as a way to ensure the livelihood of small farmers and improve the national finances. At this time, the implementation of Gongbeop(貢法) through quotation from Sungleetaejeon contributed to gradually organizing the tendency to protect small farmers based on the strengthened power of the state to a focus on landlords. In addition, in discussions on the implementation of She-cang Institution(社倉制), a limited theory of operating a ruling system centered on landowners and ruling class groups (Jaeji-Sajok, ruling class groups active in the provinces of Joseon) was derived. To sum up, the use of Zhu Xi's literature centering on the Daejeon of the Four Books and the Five Classics of King Sejong's reign contributed to establishing the vertical order of the ruling system and establishing the landlord system.
1. 머리말
2. 원 관학 성리학풍의 계승과 『성리대전』의 도입
3. 군주 주도 정치 이념과 주희 사창론의 제한적 활용
4. 맺음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