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동방학지 제207집.jpg
KCI등재 학술저널

‘모델 마이너리티 신화’는 어떻게 탄생했는가

The Birth of the Model Minority Myth : Focusing on Achievement Orientation and Racial Perception Emerging from Jun Etō's 1960s American Experience

DOI : 10.17788/dbhc.2024..207.009
  • 39

2020년 5월, 미국 미네소타주 미니애폴리스에서 위조지폐 사용 의혹을 받은 흑인 조지 플로이드를 백인 경찰 데릭 쇼빈이 강경 진압하여 질식사시킨 사건이 발생한다. 이 여파로 미국 사회의 인종 갈등이 극에 달했을 뿐만 아니라 아시아계 미국인들에게는 ‘모델 마이너리티’라는 신화에 편승하여 백인에 준하는 특권을 누리며 인종차별을 외면해 왔다는 비판이 겨누어졌다. 차별과 박해를 이겨내고 근면함과 성실함으로 미국 사회에 성공적으로 동화한 일본계 미국인에 대한 찬사로 1960년대 중반 처음 탄생한 ‘모델 마이너리티’ 표상은 미국의 동아시아 헤게모니 전략을 배경에 두고 있었으며, 타 인종에 대한 차별을 정당화하는 논리로 이용되어 오기도 했다. 그러나 모델 마이너리티가 신화화하기까지는 모범 소수자들의 공조 또한 없었다 하기 어렵다. 1962년 8월부터 1964년 8월까지 미국 프린스턴 대학에서 체류한 문예평론가 에토 준이 남긴 미국 체험기에서는, 이러한 모델 마이너리티 신화의 탄생 메커니즘에 대한 단서를 얻을 수 있다. 사회진화론에 기반한 그의 자유 경쟁 논리의 수용과 성공지향적 면모는 인종 표상이 정치화하는 과정에 당사자들이 어떻게 무의식적으로 가담하게 되는지, 이러한 가담이 방관자적 인종주의의 형태로 어떻게 드러나는지를 보여준다.

In May 2020, George Floyd, a Black man suspected of using counterfeit money in Minneapolis, Minnesota, USA, was choked to death by the White police officer Derek Chauvin. This incident exacerbated the Black-White divide in American society and led to criticism of Asian Americans for benefiting from the “model minority myth,” enjoying privileges similar to those of White people, and turning a blind eye to racism. Coined in the mid-1960s to honor Japanese Americans who overcame discrimination and successfully assimilated into American society through hard work and integrity, the model minority narrative was framed against the backdrop of U.S. hegemonic strategies in East Asia and used to justify cultural racism against other races. The mythologizing of the model minority, however, also involved the complicity of the model minority itself. The experience of the Japanese literary critic Jun Etō, who spent 1962-1964 at Princeton University, provides a clue to the birth mechanism of the model minority myth. His acceptance of the logic of free competition based on Social Darwinism shows how the model minority unwittingly became complicit in the politicization of racial representation, resulting in bystander racism.

1. 서론

2. 신화의 전조

3. 순응과 불복의 공모자들

4. 생활자와 방관자적 인종주의

5. 결론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