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고는 불교와 융합한 차가 어떤 의미를 띠고 사원 내에서 차 의례를 형성하였는지에 대한 배경을 고찰한 것이다. 불교에서는 차의 청정성이 숭고한 종교적 성격과 일치한다고 보아 사원의 의례를 형성하는 요건으로 삼았다. 사원 내에서 자체적으로 생산한 차는 부처님께 공양하는 것과 손님에게 접대하는 것, 그리고 수행하며 차를 마시는 것의 세 가지 기능을 하였다. 이러한 사원차문화는 불법을 예경하는 헌공다례와 조사의 뜻을 기리는 공차의례, 선과 일치하는 수행다례, 선승들이 불법을 논하고 청규를 지키는 청규다례의 사원차문화 의례를 형성하여 오늘날 전통 차문화의 토대로서 그 위상을 갖추고 있다.
This paper examines the background of how tea, in conjunction with Buddhism, holds significance and forms tea ceremonies within temples. In Buddhism, the purity of tea is seen as aligning with its lofty religious nature, making it a requirement for temple rituals. The tea produced within temples served three functions: offering to Buddha, hosting guests, and drinking during meditation practice. This temple tea culture has established a foundation for today’s traditional tea culture through various temple tea ceremonies, such as Heongong tea ceremony (tea ceremonies respect the Buddha), Gongcha tea ceremony (tea ceremonies commemorating the teachings of Zen monks), Suhaeng tea ceremony (meditation tea ceremonies), and Cheonggyu tea ceremony (a tea culture discussing clear and proper norms)
Ⅰ. 서 론
Ⅱ. 사원차문화의 형성 배경
Ⅲ. 사원차문화의 의례
Ⅳ. 결 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