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한국사학사학보 제49권.jpg
KCI등재 학술저널

영조대 『國朝續五禮儀補』의 편찬과 성격

Compilation of Gukjo Sok-O’rye’ui-bo (國朝續五禮儀補) during King Yeongjo’s reign, and Its nature

DOI : 10.29186/kjhh.2024.49.45
  • 9

본고는 1751년(영조 27)에 편찬된 『속오례의보』의 대체를 다루고자 작성되었다. 편찬 배경은 사도세자의 대리청정과 의소세손의 탄생이다. 편찬 시기는 ‘1751년 2월 25일 이후 3월 즈음’이다. 『오례의』와 『속오례의』를 잇는 ‘서례와 의주’로 구성되는 체제였다. 내용은 오례 중 빈례·군례·흉례가 없는 길례·가례로 채워졌고, 왕세자와 왕세손·왕세손빈이 행하는 의례가 대부분을 차지했다. 하나의 의주를 제외한 나머지 의주는 사도세자가 대리청정을 시작한 1749년 1월부터 의소세손이 태어난 이후인 1751년 2월 사이에 마련되었다. 『속오례의보』의 의주 중 절반 정도가 정조대에 편찬된 『국조오례통편』과 『춘관통고』에 반영되었다. 사도세자와 왕세손 정조 시절에 재정비되면서 이때 새롭게 마련된 의주가 두 책에 반영되는 경향이었다. 영조대에 『속오례의』가 편찬된 이후 서례와 의주로 구성되면서 속편의 성격을 띠는 국가전례서는 『속오례의보』가 마지막이었다.

Examined in this article is Gukjo Sok-O’rye’ui-bo(國朝續五禮儀補, Supplementary Edition to the Dynastic Rituals for the Five Rites), compiled during King Yeongjo’s reign. The compilation went underway as Crown prince Sado(思悼) was governing the country on behalf of the king[代理聽政], and the Crown prince’s son, Seson(世孫) Euiso(懿昭) was newly born. The inside of this edition remained the same as other Grand manuals for dynastic rituals, equipped with a preface/explanatory notes[序例] as well as attached footnotes[儀註]. Contents were mainly for the Crown prince and his son, who would likely be named as the next Crown prince. Revisions and modifications for ritual protocols concerning the Crown prince and his son continued afterwards. Roughly half of what had been included in Gukjo Sok-O’rye’ui-bo was passed on to Gukjo O’rye Tongpyeon (國朝五禮通編, C omprehensiv e Compilation o f Dynastic R ituals f or t he F ive Rites) and Chun’gwan Tong’go(春官通考, Comprehensive Analysis from the Chun’gwan office), which were both compiled and published during King Jeongjo’s reign.

Ⅰ. 머리말

Ⅱ. 편찬 배경과 경위

Ⅲ. 구성과 의주 마련의 시점

Ⅳ. 정조대 국가전례서와의 관계

Ⅴ. 맺음말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