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역사교육연구 제49호.jpg
KCI등재 학술저널

세계사 중심의 역사와 과학 접목 고등학교 기후사 교수학습 프로그램 개발 및 적용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a Climate History Teaching-Learning Program Integrating History and Science with a Focus on World History for High School

DOI : 10.16976/kahe.2024..49.57

이 연구는 역사교육 분야에서 ‘생태전환교육’을 실현하기 위한 방안으로서 ‘기후사’ 교수학습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이를 고등학교에 적용하여 효과성을 검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를 위해 2015 개정 교육과정의 성취기준(역사과와 과학과)을 기반으로 내용 요소를 도출하고, 직소 협동 학습 모형을 활용하여 4차시 교수학습 프로그램을 개발하였으며, 전문가 자문을 통해 타당성을 확보하였다. 이후, 고등학생 80명을 대상으로 효과성을 검증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개발된 교수학습 프로그램은 ‘고대 문명의 탄생’, ‘기후변화와 전염병’ 등으로 이루어진 5가지 주제에 대한 전문가 그룹 학습, 실천 행동에 대한 토의 및 토론, 포스터 제작을 통한 시각화 등으로 구성되었다. 둘째, 개발된 교수학습 프로그램은 학생들의 기후변화 대응 실천역량을 향상시킨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개발된 교수학습 프로그램은 ‘역사와의 통합’, ‘다양한 관점과 깊이 있는 학습’ 측면에서 학생들에게 차별성 있는 교육으로 다가갔으며, 학생들로 하여금 ‘역사적 사건과 기후 간의 관계에 대한 새로운 해석’과 ‘생태중심주의적 관점’을 가지게 하였다.

This study aims to develop and validate the effectiveness of a ‘Climate History’ teaching-learning program as a strategy to implement ‘Ecological Transition Education’ within history education. The program content was derived based on the achievement standards of the 2015 revised curriculum for history and science subjects. Utilizing the Jigsaw cooperative learning model, a four-session teaching-learning program was developed and validated through expert consultation. Subsequently, the program's effectiveness was tested with 80 high school students. The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the developed teaching-learning program was structured around five themes, including ‘The Birth of Ancient Civilizations’ and ‘Climate Change and Epidemics.’ These themes featured expert group learning, discussions and debates on practical actions, and visualization through poster creation. Second, the program significantly enhanced students’ competencies in climate change response. Additionally, the program provided distinctive education to students through ‘integration with history’ and ‘diverse perspectives and in-depth learning,’ enabling them to adopt new interpretations of the relationship between historical events and climate and an ‘ecocentric perspective.’

Ⅰ. 서론

Ⅱ. 연구 방법

Ⅲ. 교수학습 프로그램 개발

Ⅳ. 교수학습 프로그램 적용 결과 및 논의

Ⅴ. 결론 및 제언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