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정제 이후 변화를 모색하는 초등학교 사회 교과서의 비판적 검토
The Critical Review on Elementary Social Studies Textbooks Looking for Change After the Single National Textbook: Focusing on History for grades 5 and 6
초등의 역사는 2022년부터 검정 교과서를 사용하기 시작하였다. 초등 교과서가 국정제에서 검정제로 변화한 것은 커다란 전환이다. 검정 교과서를 기존의 국정 교과서와 비교해 진전된 측면과 더불어 극복해야 할 과제를 검토해 보았다. 검정 교과서에서 다양한 시도가 이뤄지고 있으며 그 특징을 몇 가지로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초점화의 방식을 시도하고 있다. 중등도 마찬가지이지만 초등 역시 역사 영역에서 학습해야 할 분량이 많다는 현장의 목소리가 있었다. 학습자의 부담을 고려해 본문 서술과 지도의 제시 방식에 변화를 꾀하고 있는 모습이다. 둘째, 차시 구성 방식이 다양화하고 있다. 국정 교과서와 검정 교과서가 동일한 교육과정임에도 구성 방식에서 차이를 보인다. 일제 강점기의 경우 여러 교과서가 내용에 변화를 주었다. 셋째, 다양한 자료를 발굴하여 교과서에 반영하고 있다. 일종의 정형화된 내용에 갇혀 있는 것이 아니라 새로운 자료들이 등장하고 있다. 외형적으로 볼 때 검정제가 가져온 가장 큰 변화의 하나로 여겨진다. 넷째, 학생이나 여성 등을 고려한 지면 구성이 돋보인다. 학생들이 배우는 교과서이기에 학생들의 눈높이에 맞춘 용어의 사용이나 해설 등도 중요하지만 또래의 사람들이 역사의 현장에서 어떤 삶을 살았는지 보여주는 것도 매우 의미 있는 작업이다. 학생들이 좀 더 적극적으로 역사와 교감할 수 있도록 본문이나 자료, 삽화 등을 구성하려한 노력들이 보인다. 이러한 긍정적 변화도 있지만 개선해야 할 지점들도 적지 않다. 학생들에게 적합한 용어, 표현, 문장이 제공되어야 한다. 주어와 술어가 일치하지 않고 중언부언하는 문장, 굳이 사용하지 않아도 되는 단어와 표현을 구사해 번잡한 문장, 중의적으로 읽히면서 명료하지 않은 문장들이 적지 않게 발견된다. 단순 사실의 오류도 보인다. 교과서 개발 단계에서 치밀한 검토 작업이 필요하다. 사실 오류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역사학 전공자들의 검토를 거쳤으면 한다. 그리고 내용 오류와 더불어 문장을 꼼꼼히 검토하는 작업 역시 매우 필요하다.
Elementary school history textbooks by the authorization system began to be used since 2022. The change from the national textbook system to the authorization system is a great change. This article is a critical review of the current textbooks, with the hope that it will serve as a catalyst for better textbooks to follow. First, it attempts to focus on a single subject. There were voices from the field that there is a lot to learn in history in elementary school, as well as in secondary school. In consideration of the burden on learners, changes are being made to the way text descriptions and maps are presented. Second, the unit organization is flexible. Even though the national textbook and the textbooks of the authorization system are the same curriculum, there are differences in the way units are organized. In the case of the Japanese occupation, different textbooks organized the units differently and changed the contents of the units. Third, various materials are being discovered and reflected in the textbooks. New materials are emerging, rather than being stuck in some kind of formalized content. From the outside, this is considered one of the biggest changes brought about by the textbooks of the authorization system. Fourth, the textbook is organized in a way that takes into account students and women. As it is a textbook for students, it is important to use terminology and explain things at their level, but it is also very meaningful to show how people their age lived in the field of history. Efforts have been made to organize the text, materials, and illustrations so that students can more actively engage with history. Despite these positive changes, there are still many areas for improvement. Students should be provided with appropriate terminology, expressions, and sentences. There are sentences that are rambling with inconsistent subject and predicate, sentences that are cluttered with unnecessary words and expressions, and sentences that read as if they were written in the middle and are not clear. Simple factual errors. These need to be carefully reviewed at the textbook development stage. To solve the problem of factual errors, I would like to see the textbook reviewed by history majors. In addition to content errors, it is also very necessary to review the sentences carefully.
Ⅰ. 머리말
Ⅱ. 검정 교과서가 가져온 변화
Ⅲ. 해결 과제
Ⅳ. 맺음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