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Pages from 2024+여성연구_2호_표지합본.jpg
KCI등재 학술저널

유자녀 여성 관리자의 무급노동시간이 일・가족 갈등 및 촉진에 미치는 영향 : 근로시간 유연성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DOI : 10.33949/tws.2024.121.2.001
  • 44

본 연구는 가족 내 노동시간 분배의 젠더 간 불균형을 설명하는 젠더수행론 관점에서 무급노동시 간, 근로시간 유연성, 일・가족 양립이라는 삼자의 관계성에 주목하였다. 유자녀 여성 관리자의 가사 노동시간과 돌봄노동시간이 일・가족 갈등 및 촉진에 미치는 영향과 이에 대한 근로시간 유연성의 조절효과를 검증하였다. 이를 위해 2022년 2기 여성 관리자 패널의 미성년 자녀를 둔 여성 관리자 922명의 자료를 분석했다. 분석 결과에 따르면 가사노동시간은 일・가족 갈등에 정적 영향을, 돌봄 노동시간은 일・가족 촉진에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근로시간 유연성은 가사노 동시간 및 돌봄노동시간과 일・가족 갈등의 관계를, 돌봄노동시간과 일・가족 촉진의 관계를 조절하 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근로시간 유연성이 높을수록 돌봄노동시간의 일・가족 갈등의 감소 효과와 일・가족 촉진의 증가 효과가 더 커졌다. 한편, 근로시간 유연성이 높을수록 가사노동시간의 일・가족 갈등 증가 효과는 더 감소하였다. 연구의 결과를 토대로 돌봄시간 확보를 위한 육아기 유연근무제 확대, 돌봄 친화적인 조직문화 확산, 남성의 자녀돌봄 지원 등 정책 방안을 제안하였다.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