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요양보호사의 폭력경험과 직무만족 간의 관계에서 소명의 매개효과
Mediating Effect of Calling on the Relationship between Experience of Violence and Job Satisfaction among Care Workers
- 위기관리 이론과 실천
- 한국위기관리논집
- Vol.20 No.5
- 2024.05
- 193 - 208 (16 pages)
본 연구의 목적은 요양보호사의 폭력경험이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관계에서 소명의 매개효과를 검증하고 요양보호사의 직무만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요양보호사 558명의데이터를 분석하였다. 자료분석은 SPSS 27.0 통계 프로그램을 활용하였으며, 응답자의 일반적 특성및 주요 변수의 특징을 살펴보기 위해 빈도분석, 기술통계분석, 신뢰도분석, 상관분석을 실시하였다. 주요 변수의 영향관계 및 매개효과의 검증은 Bron과 Kenny(1986)가 제시한 3단계 위계적 회귀분석을실시하였으며, 매개효과의 통계적 유의성 검증은 Sobel Test를 통해 확인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폭력경험은 소명에 부(-)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폭력경험이 많을수록 소명이 낮아지는 것을의미한다. 둘째, 요양보호사의 폭력경험은 직무만족에 부(-)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이는폭력경험이 많을수록 직무만족은 낮아지는 것을 뜻한다. 셋째, 소명은 폭력경험이 직무만족에 미치는영향에 대해 부분적으로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같은 결과를 바탕으로 요양보호사의 직무만족을제고하기 위해 폭력경험의 감소 및 소명의식을 향상시키는 방안을 논의하였다.
This study aimed to verify the mediating effect of calling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experiences of violence and job satisfaction and to find ways to improve job satisfaction among care workers. For this purpose, the data from 558 care workers were analyzed. For data analysis, frequency analysis, descriptive statistical analysis, reliability analysis, and correlation analysis were conducted using the SPSS 27.0.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was performed using Baron & Kenny(1986)'s three-step method to examine the mediating effects and the statistical significance verification of the mediating effect was confirmed through the Sobel Test. The research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experience of violence had a negative effect on the calling. Second, the experience of violence had a negative effect on job satisfaction. Third, the calling partially mediated the effect of violence experiences on job satisfaction. Based on these results, measures were discussed to reduce the experience of violence and improve calling and job satisfaction of care workers.
Ⅰ. 서론
Ⅱ. 문헌검토
Ⅲ. 연구방법
Ⅳ. 연구결과
Ⅴ. 논의 및 결론
알리는 글
Referenc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