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중앙고고연구 제44호.jpg
KCI등재 학술저널

출토문자로 본 능산리형석실의 역연대와 주인공

The historic chronology and character of Stone chamber Tombs in Neungsan-ri as seen by the excavated a records

DOI : 10.20292/jcich.2024.44.107
  • 10

본 연구는 백제 사비기 유적에서 출토된 문자자료를 능산리석실의 다양한 형태와 서로 비교하여, ‘부여 왕릉원’을 중심으로 한 王陵 가운데 中下塚(2호분)과 益山 雙陵에 대한 기존 연구 경향과 문제점을 지적하고, 이들 주인공에 대하여 새로운 視角에서 살펴보았다. ‘부여 왕릉원’은 백제가 사비로 遷都한 이후 왕실에서 조성한 陵園으로서, 聖王~武王代에 이르는 사비기의 王과 王族이 永眠해 있는 곳으로 일반적으로 알려져 있다. 이미 학계에서는 일부 陵墓의 피장자에 대한 일련의 연구가 일단락 된 것으로 인식하고 있기도 하지만, 백제 사비기 지배층의 사회적인 인식과 불교의 수용능력을 반영하는 석제사리감의 세부적인 형태나 사리봉영기와 같은 출토문자를 능산리형석실의 변화양상에 적용하여 曆年代를 추정해 보면, 기존의 인식과는 다른 새로운 主人公의 모습을 그려볼 수 있다. 특히, 백제인이 남긴 출토문자 가운데 능산리사지 석제사리감 및 왕흥사지 청동제사리합, 그리고 미륵사지 출토 사리봉영기와 같은 기록물들은 6세기 후반에서 7세기 전반 무렵 백제왕실의 사리신앙과 왕실사찰에 대한 창건 배경을 비롯하여 당시의 정치·사회·종교의 모습을 보다 명확하게 인식하는데 도움을 줄 뿐만 아니라 백제사의 전개과정을 이해하는데 큰 역할을 하고 있다. 따라서 ‘부여 왕릉원’에 있는 中下塚(2호분)은 일제강점기 고고학 조사기록에 대한 면밀한 검토와 출토문자를 통해서 볼 때, 피장자는 기존 연구에서 주장하는 聖王이 아니라 女性의 능묘이며, 그 주인공은 聖王의 婦人일 것으로 파악하였다. 또한, 武王의 陵墓로 정설화 되어 있는 益山 雙陵은 문헌기록과 고고자료를 접목시켜 정합하게 해석하는 방법을 통하여, 기존 연구 결과에 의문을 제기하며 새로운 主人公의 모색이 필요할 것으로 보았다. 즉, 雙陵에서 수습된 人骨에 대한 과학적인 분석결과를 근거로 主人公을 武王으로 파악하거나 대왕릉에서 출토된 玉裝身具에 대한 기존의 인식 등은 출토문자와 문헌기록 등과 서로 정합하지 않는 의문과 이를 제대로 설명하지 못하는 한계가 있으므로, 益山 雙陵 武王說은 더 이상 성립할 수 없으며 재검토가 시급함을 강조하였다. 향후, 백제의 聖王~武王代에 이르는 사비기 王陵에 대한 비정은 고정관념에서 벗어나 기존 연구의 문제점을 최소화시킬 수 있는 합리적인 방향으로 탐색되어야 할 것으로 생각한다.

This study compared the various forms of Stone chamber Tombs in Neungsan-ri based on the excavated a records identified of Sabi period in Baekje, Among the main characters of King’s tombs in Sabi preriod, the existing research trends and problems of N0.2 in Neungsan-ri(中下塚) and a Royal Tombs in Iksan(益山雙陵) are examining, and approaching from a new vision of these character. Buyeo Royal Tombs Garden(扶餘 王陵園) is a tomb of their family members created by the royal family after move to Sabi, and it is generally known as a place where the kings and royalty are buried from the King Seong(聖王) to the King Mu(武王). If you estimate the historic chronology by applying the detailed form of the stone sarira container(石製舍利龕), which reflects the social perception of the Sabi preriod ruling class and the capacity of Buddhism, or the excavated a written characters such as the changing patterns of Stone chamber Tombs in Neungsan-ri, you can picture a new character different from the existing perception. Therefore, the character of No.2 in Buyeo Royal Tombs Garden was found to be a female tomb, not the King Seong. In addition, a Royal Tombs in Iksan, which is established as King Mu's tomb, questioned the existing research results by combining the excavated a records and archaeological data and insisted on the urgent need to find a new character. In other words, based on the scientific analysis of human bones recovered from a Royal Tombs in Iksan the character is identified as King Mu or the existing perception of jade-accessories belt excavated from the royal tomb does not match the excavated a records and historical records. In addition, there is a limit to not being able to explain this clearly, so it is urgent to review the theory of King Mu of the Royal Tombs in Iksan. In the future, I think that the request for the royal tombs of Sabi period from Baekje's King Seong to King Mu, should be carried out in a way that can minimize the problems of existing research, breaking away from stereotypes.

Ⅰ. 머리말

Ⅱ. 출토문자와 능산리형석실의 역연대

Ⅲ. 中下塚(2호분)의 피장자는 과연 聖王인가?

Ⅳ. 益山 雙陵 武王說의 의문점과 피장자 검토

Ⅴ. 맺음말

참고문헌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