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글은 대구 달성의 구조와 축조기법 상의 특징을 파악하기 위해 신라, 백제, 가야지역의 토성과 비교를 목적으로 한다. 달성의 성벽에 대한 조사는 일제강점기로부터 2016년에 이르는 긴 시간 동안 총 3차례 실시되었다. 달성의 성벽에 대해서는 제한된 조사만 시행되었기 때문에 축조기술과 공정을 추정하는 데 있어 근본적인 한계가 존재한다. 현재까지 축적된 정보만으로는 축조공정 및 기술에 대한 명확한 추론이 어렵다. 그로 인해 축조공정마다 여러 가설을 나열하는 방식을 택하여 축조공정별 특징을 추출하였다. 검토 결과, 달성은 신라 성곽 가운데 특별한 위치에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초축성벽의 축조에 앞서 조성된 구조물의 존재 가능성이 확인되는 것은 달성의 축조 이전부터 점유한 세력의 존재와 위상에 대해 궁금증을 갖게 한다. 또한 1,300m에 달하는 신라의 최대급 지방성이 축조되었으며, 축조기술은 성토기법이어서 판축 도입 이전에 축조된 것으로 보인다. 현재 자료로는 4세기대로 추정되므로 왕성인 경주 월성과의 비교자료로서 가치가 크다. 이후 5세기 어느 시점에 토성으로 증축 또는 석축성벽으로 개축된 것 같다. 특히 외벽 석축부에서 확인된 석축기술은 그간 논의되어온 신라 석축성곽의 석축기술과 판이하며, 오히려 최근 확인된 대구지역 성곽 자료들과 유사성이 강하다는 점이 주목된다. 달성의 변화 속에서 추출한 세부기술의 특징은 동시기에 공존하였던 신라, 백제, 가야 성곽과의 비교를 통해서도 충분히 입증되는 당대의 기술이다. 오히려 각 기술이 달성에 구현된 시기가 상대적으로 이른 편이므로 신라 성곽의 축조기술, 나아가 고대 토목기술사 연구에 있어 중요한 자료임을 알 수 있다.
This article aims to compare the Earthen fortification of Silla, Baekje, and Gaya to understand the structure and construction techniques of Daegu Dalseong. A total of three surveys on the walls of Dalseong were conducted during the long period from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to 2016. Since the survey of the Dalseong Wall has been limited, it is difficult to infer clearly due to fundamental limitations in estimating construction techniques and processes. As a result, the characteristics of each construction process were extracted by selecting a method of listing various hypotheses for each construction process. As a result of the review, it was found that Dalseong was in a special position among the Silla fortification. The confirmation of the possibility of the existence of a structure built prior to the construction of the First build Wall raises questions about the existence and status of the forces occupied even before the construction of Dalseong. In addition, Silla's largest provincial fortification of 1,300m was built, and the construction technology is embankment structure, so it seems that it was built before the introduction of the stamped arthen wall. Since the current data are estimated to be in the 4th century, it is of great value as a comparative data with the king's capital Gyeongju Wolseong. After that, it seems to have been rebuilding as a extension or Stone-walled fortification to Earthen fortification at some point in the 5th century. In particular, it is noteworthy that the Stone-walled technology identified in the outer wall stonework is different from the Stone-walled technology of Silla Stone-walled fortification that have been discussed so far, and rather, it has a strong similarity to the recently identified fortification in Daegu. The characteristics of the detailed techniques extracted amid the changes in Dalseong are those of the time sufficiently proven through comparison with the Silla, Baekje, and Gaya fortification that coexisted at the same time. Rather, since the time when each technology was implemented in Dalseong was relatively early, it can be seen that it is an important data for the construction technology of the Silla fortification and further the study of ancient civil engineering history.
Ⅰ. 머리말
Ⅱ. 대구 달성의 현황과 축조기술
Ⅲ. 축조기술에 대한 예찰
Ⅳ. 국내 성곽과의 비교
Ⅴ. 맺음말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