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미래연구 8권 2호.jpg
학술저널

2050년 동북아시아 전쟁양상에 따른 위협과 도전

Threats and Challenges of a 2050 Northeast Asian Warfare

  • 7

이 연구는 전쟁의 주체, 수단, 방법을 틀로 하여 2050년의 미래전쟁양상, 특히 동북아시아의 전쟁양상을 시나리오식으로 제시하였다. 전쟁주체는 클라우제비츠가 제시한 전쟁의 본질중 국민, 국가, 군대가 삼위일체로서 전쟁의 주체라는 개념을 적용하였다. 전쟁수단은 2050년경 일반화될 기술을 가정하여 6대 합동기능인 지휘통제, 정보, 화력, 이동 및 기동, 방호, 지속지원과 미래의 핵심 전쟁능력으로 등 장할 심리, 정보, 인지작전 무기체계로 제시하였다. 방법은 전쟁주체인 국민, 국가, 군대를 적의 것은 분열시키고, 나의 것은 하나로 단결시키는 방법을 제시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2050년 동북아시아에서의 전쟁양상을 전쟁이하 수준과 전면전 수준에서 시나리오식으로 제시하여 대략적인 전쟁양상을 이해할 수 있도록 하였다. 그리고 이와 같은 전쟁양상이 우리에게 주는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이 연구를 통해 현재와 미래의 전쟁양상을 이해하고 준비하는데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한다.

This study presents a scenario of future warfare in 2050, especially in Northeast Asia, based on the subjects, means, and methods of warfare. The subject of war applies Clausewitz’s concept of the trinity of people, state, and army as the essence of war. The means of warfare are presented as six joint functions : command and control, intelligence, firepower, movement and maneuver, protection, and sustainment, assuming technologies that will be common around 2050, and psychological, information, and cognitive operations weapons systems that will emerge as core warfare capabilities in the future. The method is to divide the enemy’s and unite the people, nation, and army, which are the subjects of war. Based on this, we presented scenarios of warfare in Northeast Asia in 2050 at the sub-war level and the all-out war level so that we can understand the approximate pattern of warfare. We also presented the threats and responses to these warfare patterns and suggested implications. This study is expected to help us understand and prepare for current and future warfare patterns.

1. 미래의 전쟁양상

2. 2050년 동북아시아에서의 전쟁양상

3. 위협과 도전

4. 결론

참고문헌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