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통일교육연구 제21권 제1호.jpg
KCI등재 학술저널

집단주의가 북한의 교육 군사화에 미치는 영향

The impact of collectivism on the militarization of education in North Korea

DOI : 10.12345/kare.2024.21.1.73
  • 56

이 연구의 목적은 북한에서 강조되는 집단주의의 특성을 교육체계와 현황에서 찾고자 함에 있다. 북한은 6·25전쟁을 분기점으로 하여 군대가 지니게 되는 ‘애국주의 기반한 모범의 전형’에 따라 집단주의가 정당화되었다. 특히, 집단주의의 논리는 적(Enemy)에 대한 공동의 인식과 전쟁위협에 대한 주기적 환기를 통해 내부단결을 도모하고 집단성이 위기를 타개하기 위한 구심점으로 활용된다. 이러한 국가 성격은 북한의 교육 분야에 적용된다. 북한에서 교육은 ‘사회적 인간으로 개조시키는 사업’이자, ‘주체혁명위업을 계승하기 위한 과정’을 의미하여 궁극적으로‘수령’을 옹립하기 위한 사상적 일체화를 강조한다. 특히, 항일무장투쟁과 6·25전쟁은집단주의 교육의 정당성이 입체적으로 구축하게 하는 배경이 되었다. 북한 교육의 내용은 항일혁명사상을 체화시키는 것에 방점을 두고 학습과 노동이 교육의 테두리 안에서공존하며, 더 나아가 군사지식과 사상을 학습하여 일상에서 군사적 행위가 적용되어 적에게 대응하고자 하는 ‘교육 군사화’ 형태가 구조화된다. 교육 군사화는 수령의 교시를 현실에서 실현하고자 하는 인민대중의 충성심에 기반한다. 이는 곧 인민군대의 애국심과 매개되어 교육을 통한 규율·통제의 수용이 정당화되도록 역할을 한다. 그 결과 군사적 담론을 사회적으로 침투시켜 인민으로부터 강압과동의를 창출한다. 또한 새 세대에 공산주의 사상을 주입시켜 교육 군사화를 재생산한다는 점에서, 교육은 학생을 학교와 가정을 포괄하는 일상의 공간을 통해 국가 권력을 통해 지휘 되는 하나의 군사체로 작동한다. 교육 군사화 현상은 교과 체계와 내용에서도발견된다. 북한은 김일성 가계의 어린시절·혁명활동·역사를 학습하는 교과를 통해 반제·반미 사상을 교양하여 혁명사상을 교육한다. 또한 『사회주의도덕·법』과 『공산주의 도덕』의 교과과목을 통해 집단주의의 실천 역량을 함양하여 사회정치적 생명을 유지하기 위한 교육을 전개하고 『군사활동초보』, 『군사지식』 등 학습자의 군사역량을 함양하기 위한 교과과정을 배정하여 군사화된 인간으로 개조하는 것을 견인한다. 북한 교육 군사화의 특징은 다음과 같다. 첫째, 집단주의에 대한 이론적 기반과 현실에서의 집단활동이 결합됨으로써 종적·획적 집단화가 가능하게 된다. 둘째, 군사가 정치의 부속물이 아닌 공존의 형태로 교육되어 규율과 통제가 정당화되고 당과 수령에 대한 충실성이 군인과 같은 사상으로 무장화된다. 셋째, 생애주기별 조직 소속을 통해 영유아 시기부터 형성된 집단주의적 가치관은 학생 시기 고착화 되어 집단을 통한 사회활동을 통해 재생산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the characteristics of collectivism emphasized in North Korea in the education system and current situation. In North Korea, there is a historical moment in which collectivism is justified according to the ‘patriotism-based exemplary model’ that the military had after the Korean War. Furthermore, this promotes internal unity through clear awareness of the enemy and periodic reminder of the threat of war, and collectivity is used as a focal point to overcome the crisis. This national character is applied to the field of education. In North Korea, education means ‘the project of transforming people into social human beings’ and ‘the process of inheriting the revolutionary feat of Juche,’ ultimately emphasizing ideological unity to uphold the leader. In particular, the historical background of the anti-Japanese armed struggle and the Korean War served as a backdrop for solidly establishing the legitimacy of collectivist education. North Korea’s education, which reflects its historical specificity, is structured in a form of ‘education militarization’ in which anti-Japanese revolutionary ideas are learned, learning and labor coexist within the framework of education, and furthermore, military knowledge and ideas are learned and military actions are applied in daily life. The application of collectivism in education is based on the loyalty of the people who want to realize the leader’s teachings in reality. This, in turn, is mediated by the ‘militarization’ based on the patriotism of the People’s Army and serves to justify the acceptance of discipline and control through education. In particular, military discourse penetrates society to create coercion and consent from the people. In particular, in that it reproduces the militarization of education by instilling communist ideology in the new generation, education operates as a military body commanded by state power through students’ everyday spaces including school and home. The phenomenon of educational militarization is also found in the curriculum system and content. North Korea educates revolutionary ideas by teaching anti-imperialism and anti-American ideology through subjects that study the childhood, revolutionary activities, and history of Kim Il-sung's family. In addition, through the subjects of『Socialist Morality and Law』 and 『Communist Morality』, we develop education to maintain social and political life by cultivating the ability to practice collectivism. In addition, curricula to cultivate learners’ military capabilities, such as 『Beginners in Military Activities』 and 『Military Knowledge』, are assigned to promote transformation into militarized human beings. The characteristics of educational militarization that emerge from such education are as follows. First, vertical and linear grouping becomes possible by combining the theoretical basis for collectivism and real-world group activities. Second, the military is educated as a form of coexistence rather than as an appendage to politics, so that discipline and control are justified and loyalty to the party and leader is armed with the same ideology as a soldier. Third, through affiliation with organizations in each life cycle, group values become entrenched during the student period and are reproduced after growth.

Ⅰ. 들어가며

Ⅱ. 사회주의 관점에서의 집단주의와 교육 군사화의 관계

Ⅲ. 북한의 교육 군사화 현황

Ⅳ. 교육 군사화 적용과 특징

Ⅴ. 결 론

참고문헌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