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학술저널

대학신입생의 가족 및 친구관계 스트레스와 대학생활적응의 관계 - 우울의 매개효과

Relations Between Family and Friend Stress and College Adjustment of College Freshmen - The Mediating Effects of Depression

  • 37
한국문화융합학회.jpg

본 연구는 대학신입생의 가족 및 친구관계 스트레스가 대학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 친밀한관계에서 경험하는 스트레스와 대학생활적응 간의 관계에서 우울의 매개효과를 확인하고자 실시되었다. 이를 위해 대학신입생 414명을 대상으로 가족 및 친구관계 스트레스 척도, 우울 척도, 대학생활적응 척도를 실시하고, 구조방정식모형을 사용하여 설문자료를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대학신입생의 가족관계스트레스와 친구관계 스트레스는 대학생활적응을 모두 유의하게 예측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가족관계 스트레스와 대학생활적응의 관계에서 우울의 매개효과는 유의하였으나, 친구관계 스트레스와 대학생활적응의 관계에서는 우울의 매개효과는 유의하지 않았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대학신입생이 친밀한 관계에서 경험하는 스트레스가 대학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 및 우울의 매개효과에 대해 논의하고, 대학생활적응을 향상시킬 수 있는 구체적인 개입 방안을 검토하여 제안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whether family and friend stress of college freshmen affect the college adjustment, and depression mediate between relational stress and college adjustment. The data of 414 college freshmen(177 male, 237 female) were analyzed with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using SPSS and AMOS programs. The key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ly, family stress, friend stress and depression negatively predicted college adjustment. Secondly, bootstrapping showed that depression medi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family stress and college adjustment. But mediating effect of depression between friend stress and college adjustment was not significant. Based on these results, it was discussed the effect of stress experienced by college freshmen in intimate relationships on college adjustment through depression, and proposed specific intervention method that can improve college adjustment.

1. 서론

2. 연구방법

3. 연구결과

4. 결론 및 논의

(0)

(0)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