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학술저널

디지털 사이니지와 미디어 파사드 기술을 접목한 도시 브랜드 PR 사례에 대한 연구

A Study on the Urban Brand PR Case of Digital Signage and Media Facade Technology

  • 60
한국문화융합학회.jpg
※해당 콘텐츠는 기관과의 협약에 따라 현재 이용하실 수 없습니다.

본 논문의 목적은 국내외의 디지털 사이니지 매체들을 활용한 성공적 도시 브랜딩 사례들을 분석함으로써 도시 혹은 지역 브랜딩을 강화하는 PR 방안을 모색해 보는 것이다.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우선 국내 사례로, 익산의 미륵사지 미디어아트 쑈는 디지털 기술을 기반으로 시민의 참여를 이끌어내면서 백제를 상징하는 도시로 브랜딩할 수 있었다. 인천 송도센트럴파크 ‘미디어보울’은 디지털 사이니지를 활용한 미디어아트와 주민 참여 공연으로 인천의 랜드마크가 되었다. 해외 사례로, 중국 계림의 ‘인상유삼저’는 자연절벽을 비추는 미디어 파사드 무대에서의 공연을 통해 계림 브랜드가 되었다. 미국 시카고의 ‘크라운 분수'는 LED 화면에 시카고 시민 천명의 얼굴을 구현하는 공공 미디어아트를 통해 성공적인 PR을 수행했다. 프랑스 리옹의 ‘빛의 축제’는 지역 조명산업과의 연계를 통해 세계적인 축제로거듭났다. 이러한 사례들은 디지털 사이니지와 미디어 파사드 같은 디지털 옥외매체가 시민 참여와 지역 산업 연계를 통해 도시 브랜드로써 성공적인 PR을 할 수 있음을 시사한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explore PR measures to strengthen urban or regional branding by analyzing successful urban branding cases using domestic and foreign digital signage media. The analysis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of all, as a domestic example, the Mireuksa Temple Site Media Art Show in Iksan was able to brand as a city symbolizing Baekje while drawing citizen participation based on digital technology. Incheon Songdo Central Park 'Mediabowl' became a landmark of Incheon for media art using digital signage. Guilin’s performance ‘Impression Third Sister Liu Show’ at the stage of natural stone that was illuminated by the media facade on the walls has become Guilin’s symbolic brand. The 'Crown Fountain' in Chicago, has successfully promoted through public media art that embodies the face of a thousand Chicago citizens on an LED screen. The 'Festival of Light' in Lyon, France, has been reborn as a global festival through connection with the local lighting industry. These examples suggest that digital outdoor media such as digital signage and media facilities can successfully promote themselves as city brands through civic participation and local industry linkage.

1. 서론

2. 문헌연구

3. 연구방법 및 연구문제

4. 분석결과

5. 결론 및 논의

(0)

(0)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