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보조사상 第69輯.jpg
KCI등재 학술저널

『법집별행록절요병입사기』의 현전 목판본 검토 - 불명본과 새로운 판본 중심으로

Review of the Extant Woodblock Edition of Excerpts from the separately circulated record in a Collection of Dharma and with Personal record (法集別行錄節要竝入私記) - Focusing on Unknown and new editions

DOI : 10.22859/bojoss.2024.69.001
  • 7

이 논문의 연구 목적은 보조국사 지눌이 저술한 『法集別行錄節要幷入私記』의 현전하는 목판본을 정리하는 것이다. 조선시대 사찰 승려 교육과정의 하나인 ‘사집과’의 과목이었던『절요』는 전국 주요 사찰에서 200여 년 동안 지속적으로 간행되었다. 그 책들 가운데 刊記가 떨어져나가 ‘불명본’으로 전하는 판본은 3종이다. 靈光 佛甲寺 佛腹藏 典籍에 들어있던 11행 21자의 행격을 갖는 불갑사 소장 불명본, 국립중앙도서관이 소장하고 있는 본으로 청허 휴정의 제자인 ‘義天’이란 인물이 글씨를 썼다는 정보 외에 다른 특정 서지 정보가 없는 국중도 소장 불명본, 그리고 규장각에서 소장하는 ‘奎11608’이 그것이다. 이 3종에 대하여, 기존 판본의 서지 사항 등의 정보를 대조 분석하는 작업을 통해 앞의 2종은 여전히 불명본으로 남아 있어야 할 것이며, 규장각 소장 불명본 ‘奎11608’은 1645년 九月山 月精寺에서 간행한 본으로 추정하였다. 그리고 국립중앙박물관에서 소장하고 있는 ‘건희6284’ 『절요』본이 새롭게 추가되어야 할 판본이다. 이 판본은 1575년 담양의 秋月山 龍泉寺에서 벽송 지엄의 제자인 雪訔을 주축으로 慧澄, 法連이 주도하여 간행한 책이다. 이번 연구를 통하여 기존의 연구로 정리되었던 27종의『절요』판본은 결과적으로 모두 31종으로 정리될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organize the compile the extant woodblock edition of Excerpts from the separately circulated record in a Collection of Dharma and with Personal record (法集別行錄節要竝入私記) written by Bojo Jinul. In the Joseon Dynasty, the Jeolyo, which was a subject in the “Sajipgwa(四集科)” curriculum, which was one of the curriculum of Buddhist temples, was continuously published in major temples across the country for more than 200 years. Of these versions, there are three that have fallen off the “Publication Notes (刊記)” and are known as “unknown versions”. These include an unknown version of the Bulgapsa Temple, which has 11 lines and 21 characters that were included in the “Yeonggwang Bulgapsa Buddhist Costume Record (靈光 佛甲寺 佛腹藏 典籍)”, an unknown version in the possession of the National Library of Korea, which has no specific bibliographic information other than the information that a person named “Uicheon (義天)”, a disciple of the Cheongheo Hyujeong (淸虛休靜), wrote it, and “奎11608” in the possession of the Gyujanggak. Regarding these three versions, the first two should still remain unknown versions through the cross-analysis of bibliographic information of the existing editions, and it is presumed that the unknown version in the collection of Gyujanggak was published in 1645 by Woljeongsa Temple (月精寺) in Guwol Mountain(九月山). In addition, the 'Geonhee 6284' Jeolyo edition, which is in the possession of the National Museum of Korea, is a new edition that should be added. It was published in 1575 at Yongcheonsa (龍泉寺) in Chuwol Mountain(秋月山), Damyang, under the leadership of Seoleun (雪訔), a disciple of Byeoksong Jieom(碧松智嚴), and Hyejing (慧澄) and Beopryeon (法連). Through this study, the 27 editions of Jeolyo that were previously compiled can be organized into a total of 31 editions.

Ⅰ. 서론

Ⅱ. 『법집별행록절요병입사기』의 현전 불명본

Ⅲ. 『법집별행록절요병입사기』의 새로운 판본

Ⅳ. 결론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