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구약성경에 나타난 부활을 고찰한다. 구약성경에서 다니엘서와 마카베오기 하권 외에는 부활에 관한 명백한 증언은 없다는 것이 이미 정설이 되어 있으므로, 본고에서는 시편 이외의 다른 부분에 대해서는 기존의 해석들을 요약하는 데에 머물렀다. 다만 히브리어 본문에서 분명하게 부활에 대해 말하고 있지 않은 호세 6,2; 이사 26,19; 에제 37,1-14; 욥 19,25-27이 신약성경과 교부들의 해석에서 부활에 대한 언급으로 이해되었음을 살펴보고, 지혜서에서 말하는 불사를 육신 부활과 연결지을 수 있는 가능성도 고찰했다. 시편의 경우 몇몇 시편들이 부활과 연결지어 해석되는데, 히브리어 본문에 따른다면 부활에 대한 명백한 언급은 없다. 본고에서는 시편 1; 16; 49; 73; 149에서 부활에 관한 언급으로 볼 여지가 있는 부분들을 살펴보았다. 이 시편들은 현세에서 이루어지지 않는 인과응보의 문제, 악인의 번영, 죽음을 피할 수 없는 인간의 운명, 종말의 심판 등 서로 다른 맥락 안에서 미래의 전망을 모색하며, 죽음을 넘어서는 희망을 품기 시작한다. 이 시편들의 부활 희망은 명백하지 않지만, 이들이 부활 희망을 향해 한 걸음 접근하는 것은 알아볼 수 있다. 또한 70인역과 신약성경, 그리고 교부들의 해석이 이 시편들 안에서 부활 희망을 읽어내기도 한다. 구약과 신약 전체에서 부활 희망이 점진적으로 발전한다고 할 때 시편집은 그 희망의 싹이 트는 계기들을 보여주고 있고, 후대에 더 발전된 부활 신앙이 이 시편들을 자신들의 관점에서 다시 해석하기도 했던 것이다.
This article explores the theme of resurrection in the Old Testament. Since it is already established that there is no evident testimony of the resurrection in the Old Testament except in the Books of Daniel and 2 Maccabees, I just summarize the existing interpretations of these texts. In addition, I observe that some texts such as Hos 6:2, Isa 26:19, Ez 37:1-14, Job 19:25-27, which do not explicitly mention the theme of resurrection, are interpreted with reference to it in the New Testament and in the patristic teachings. I also consider the possibility of interpreting the immortality in the Book of Wisdom in connection with the corporal resurrection. In the case of the Psalms, some texts are interpreted in connection with the resurrection, but the Hebrew texts have no explicit reference to this theme. I examine the possible references to the resurrection in Psalms 1, 16, 49, 73, and 149. These psalms explore the prospects of the future in different contexts, such as the problem of retribution not realized in this life, the prosperity of the wicked, the inevitability of death, and the final judgment, and begin to conceive of hope beyond death. The hope for the resurrection in these texts is not evident, but they approach the hope beyond death. A certain eschatological hope begins to emerge. The Septuagint, the New Testament, and the interpretations of the Church Fathers also read the hope for the resurrection in these psalms. While the hope for the resurrection emerged gradually in the Old and New Testaments, the Psalms constituted moments in which the hope germinated. In later years commentators with more developed beliefs in the resurrection reinterpreted these psalms from their own perspective.
1. 서론
2. 시편을 제외한 구약성경과 부활
3. 시편
4. 결론
(0)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