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논문은 구암(久菴) 한백겸(韓百謙, 1552~1615) 문학 연구의 일환으로 그의 산문 세계를 조명한 글이다. 현전하는 산문 작품들을 대상으로 3가지 측면에서 살펴보았는데, 치밀한 논증의 글쓰기는 전통 시대 한백겸의 산문에 대한 평가를 확인하려는 의도이고, 성찰과 교화의 글쓰기는 그의 삶과 가치관을 투영하는 작품 세계를 조명하려는 의도이고, 참신한 의론의 글쓰기는 산문 작가로서 그의 우수성을 탐색하려는 의도이다. 치밀한 논증의 글쓰기로서 「독다방해(讀多方解)」를 살펴보았다. 한백겸이 특정한 기록이나 서술에 대해 허투루 간과하지 않고 학자로서 문제의식에 기초하여 치밀하게 논증하고 이치를 밝히는 행위는 그의 학문 방법론을 잘 보여 주는 것이다. 성찰과 교화의 글쓰기로서 「반시당기(返始堂記)」를 살펴보았다. 한백겸은 자신과 남, 공간과 도덕을 중첩하여 ‘반시(返始)’의 의미를 확장하였다. 자신은 시조가 태어난 고을로 돌아옴으로써 자신의 뿌리를 성찰하고, 자신은 물론 남들은 태어나면서 하늘로부터 품부 받은 본성을 회복함으로써 역시 자신의 본성을 성찰하는 게 ‘반시’의 함의인데, 한백겸은 여기에 교화의 측면까지 확대하였다. 참신한 의론의 글쓰기로서 「접목설(接木說)」을 살펴보았다. 접붙이기라는 재배법과 그 일련의 과정을 가지고 자신의 삶에 대한 성찰, 나아가 인간의 도덕과 가치에 대한 통찰을 담은 이 글은 주제와 소재 모든 측면에서 참신함이 돋보인다.
This paper examines the world of his prose as part of a study on the literature of Guam(久菴) Han Baek-gyeom(韓百謙, 1552~1615). In order to complement the tendency of Han Baek-gyeom's research to date to focus on a specific field and to verify the traditional period evaluation of his literature, this paper conducts a study on his literature. Research on Han Baek-gyeom's literature must ultimately be conducted on his prose works. The reason is that his collection of works, Guamyugo(久菴遺稿), contains only prose works. The works included in this collection were generally created in old age, after the age of 50. His prose works were examined from three aspects. The writing of detailed arguments is intended to confirm the evaluation of Han Baek-gyeom's prose in the traditional era, the writing of reflection and edification is intended to illuminate the world of works that reflect his life and values, and the writing of novel arguments is intended to demonstrate his excellence as a prose writer. First, we looked at Dogdabanghae(讀多方解) as a form of detailed argumentative writing. His actions as a scholar, making arguments and clarifying reasons based on critical awareness, without carelessly overlooking specific records or descriptions, demonstrate his academic methodology. Second, we looked at Bansidanggi(返始堂記) as a writing of reflection and edification. He expanded the meaning of bansi(返始) by overlapping self and others, space and morality. Third, we looked at Jeobmogseol(接木說) as a novel piece of argumentative writing. It contains reflections on one's life and insight into human morals and values through the cultivation method called grafting and its series of processes.
Ⅰ. 머리말
Ⅱ. 구암 한백겸의 산문 작품 개관
Ⅲ. 구암 한백겸의 산문 세계 양상
Ⅳ. 맺음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