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운곡논총 제16집.jpg
KCI등재후보 학술저널

「부론강」에 나타난 장소성 구축과 로컬 정체성 연구

A study on the construction of sense of place and local identity in 「Buron River」

DOI : 10.69615/ungok.2024.16.191
  • 30

노동작가 이인휘의 「부론강」은 소수적 반자본주의적 타자지향적 시각으로 ‘부론’이라는 공간이 장소화되어 가는 여정을 통해 ‘부론성’을 선명하게 드러낸다. 로컬리티가 부각되고 인간중심적 인간예외적 사유에 대한 성찰이 요구되는 인류세에 이 소설은 사람 중심에서 벗어나 나무, 강, 땅 등 자연과의 교감과 감응, 역사인물, 유물/유적의 의미를 인간과 동등하고 공평하게 배려하고 배치하면서 비인간적 전회를 시도한다. 서울 출신의 작가가 우연히 정착하게 된 원주시 부론면은 자기돌봄과 상처치유가 실현되는 곳으로 남한강, 섬강과 치악산, 백운산, 미륵산이 품은 모성과 포용성의 특질을 지닌 지형적 역사적 의미를 담고 있다. 외부에서 온 사람들이 모여 만든 주점이자 능동적 공동체인 ‘꿈을 찾는 사람들’은 공동으로 농사를 짓는 자급자족과 사물놀이, 타자돌봄, 지역문화가 이뤄지는 곳이다. 인간의 이익수단이었던 토지이용에 대한 반성과 자본주의에서 벗어나고자 하는 이들은 부론에서 상처를 극복하고 마음의 문을 열게 된다. 원주민, 동향인이 아닌 외지인, 이방인에 의한 공동체라는 설정은 지나치게 낭만화되고 아름답고 긍정적으로만 묘사된 고향의식, 지역편향이라는 한계에서 벗어나게 한다. 부론지역은 천년의 느티나무와 무한정 포용하고 허여하는 강, 고독과 비의를 지닌 폐사지 등의 자연친화와 신체적 조응을 통한 장소애와 생명애가 발현된다. 공간이 구체적으로 장소화되는 「부론강」은 하나의 전범이 될 정도로 뚜렷하고 선명하게 원주시 부론의 정체성을 부각시킨 매우 독특하고 독창적인 지역생태(생명)소설로 평가된다.

Labor writer Lee In-hwi’s ‘Buron River’ clearly reveals ‘Buron-ness’ through the journey of the space called ‘Buron’ becoming a place from a minority anti-capitalist, other-oriented perspective. In the Anthropocene, where locality is highlighted and reflection on human-centered and human exceptional thinking is required, this novel moves away from people-centered and focuses on communication and response with nature such as trees, rivers, and land, and the meaning of historical figures and relics/remains between humans and humans. It presents an inhumane turn while providing equal and fair consideration and placement. Buron-myeon, Wonju-si, where the writer from Seoul happened to settle, is a place where self-care and wound healing are realized, and it contains topographical and historical significance with the characteristics of motherhood and inclusiveness of the Namhan River, Seom River, Chiaksan Mountain, Baekunsan Mountain, and Mireuksan Mountain. ‘Dream Seekers’, a bar and active community created by people from outside, is a place where self-sufficiency through communal farming, samulnori, caring for others, and local culture take place.Those who want to reflect on the use of land, which was a means of human profit, and escape from capitalism, overcome their wounds and open their hearts in Buron. The setting of a community made up of outsiders and strangers rather than natives or locals allows us to escape from the limitations of regional bias and a sense of home that is overly romanticized and portrayed only as beautiful and positive. In the Buron area, love of place and love of life are expressed through physical harmony with nature, such as thousand-year-old zelkova trees, a river that embraces and allows infinitely, and an abandoned temple site with solitude and mystery. In the literary representation of the Buron region, humans, Nature and history are arranged fairly and balancedly. “Buron River,” in which space is specifically transformed into a place, is evaluated as a very unique and original regional ecology (life) novel that highlights the identity of Buron, Wonju City, clearly and clearly enough to become a model.

Ⅰ. 머리말

Ⅱ. 타자의 공간, 능동적 공동체로서의 ‘꿈을 찾는 사람들’

Ⅲ. 자연교감 및 상처치유로서의 성장서사

Ⅳ. 유적/역사인물로 본 부론의 역사성과 장소성

Ⅴ. 맺음말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