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운곡논총 제16집.jpg
KCI등재후보 학술저널

원주이씨 해남문중의 『용하도록』과 지역사 정보

『Yonghadorok(用下都錄)』 owned by WonjuLee clan and local history information

DOI : 10.69615/ungok.2024.16.217
  • 13

이 글에서는 원주이씨 해남문중 소장의 『용하도록』 중에서 일제강점기의 「용하기」를 분석하여 해남지역의 두락의 면적, 지명의 문제, 목포항의 개항과 미곡가, 해남지역의 가뭄 등을 살펴보았다. 그리고 이를 통하여 문중 「용하기」가 지역사 연구 자료로도 활용될 수 있다는 점을 강조했다. 『용하도록』 속 1두락의 면적은 평균 214평으로 해남군 평균 200평보다는 더 큰 편이다. 그리고 분석 대상 12곳 중에서 200평에서 10% 오차인 180~220평을 벗어나는 곳이 무려 4곳이나 있고, 이 중에는 300평에 가까운 곳이 2곳이나 된다. 이에 동일 읍면 단위 내에서도 1두락의 면적에서의 심한 편차가 있었음을 알 수 있다. 「용하기」에는 기존의 지명유래집에서 기록되지 않았던 들판과 미세지명을 전한다. 이에 「용하기」의 분석은 시군·동리 단위 지명연구를 보충할 수 있는 지역사 정보라 할 수 있다. 한편, 『용하도록』을 보면 동일지명이라도 기록자에 따라 서로 다른 한자지명으로 쓰고 있는데, 이로써 현지의 식자층이라 할지라도 자기 지역의 지명 유래에 대하여 정통하지 못했던 사실을 알 수 있다. 해남지역은 배로 쉽게 목포항에 접근할 수 있는 목포문화권에 속하는 곳이다. 이에 목포항의 개항으로 쌀값이 폭등하였다. 해남과 영암지역의 쌀값은 구체적으로 각각 2배, 2.42배 급등하였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용하기」의 작황은 시군 단위의 가뭄을 시계열로 파악할 수 있는 간접자료이다. 『용하도록』을 통한 분석 결과 전라도에 가뭄이 발생하였던 1901년, 1912년, 1938년, 1942~1943년에 오히려 평년작 또는 풍작을 거두었다. 이에 시도 단위 기상 관련 정보를 시군 단위에 그대로 적용할 수 없음을 구체적으로 살필 수 있었다. 이렇듯 「용하기」는 기존의 문헌에서는 구하기 어려운 시군 단위는 물론 읍면 단위의 소지역사 관련 정보를 담고 있다. 앞으로 「용하기」에 대한 분석이 기존의 경제사 중심에서 벗어나 사회사, 문중사, 생활사 영역으로 확대할 필요가 있다고 본다. 이번 연구에서 그런 학문적 접근이 이루어질 필요성을 확인했다.

In this article, we analyzed the 『Yonghadorok(用下都錄)』 owned by WonjuLee clan(原州李氏) and examined the area of Durak(斗落) in the Haenam region , the problem of place names, the opening of Mokpo Port and the rice crop house, and the drought in the Haenam region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The average area of 1 durak in 『Yonghadorok』 is 214 pyeong(坪), which is larger than the average of 200 pyeong in Haenam Country. And out of the 12 places analyzed, there are as many as 4 places that deviate from 200 pyeong to 10% error of 180~220 pyeong, and among them, 2 places are close to 300 pyeong. Thus, it can be seen that even within the same municipality there was a great deviation in the area of 1 durak. 『Yonghadorok』 conveys micro-place names that have not been recorded in the existing research. Accordingly, the analysis of Yonghagi(用下記) can be said to be local history information that can supplement the study of place names at dong(洞) levels. On the other hand, if you look at the 『Yonghadorok』, the same place name is written in different Chinese characters depending on the writer, which shows that even the local literate class was not well versed in the origin of the place names in their own region. The Haenam(海南) area belongs to the Mokpo cultural area, where Mokpo Port can be easily accessed by ship. With the opening of the port of Mokpo Port, the price of rice skyrocketed. Specifically, the price of rice in Haenam and Yeongam(靈巖) region soared 2 times and 2.42 times, respectively. The crop status of Yonghagi is an indirect data that can grasp the drought at the city and county level as a time series. As a result of the analysis, through in 1901, 1912, 1938, and 1942~1943, when droughts occurred in Jeolla Province(全羅道), in Haenam region the average or abundant crops were harvested. As a result, it was possible to specifically observe that the weather-related information at the Province(道) level cannot be applied to the city and county level as it is.

Ⅰ. 머리말

Ⅱ. 원주이씨 해남문중과 「용하기」 소개

Ⅲ. 지역사 정보의 주제별 검토

Ⅳ. 맺음말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