압력 및 가속도 센서를 활용한 운동 자세 교정 시스템
Exercise Posture Calibration System using Pressure and Acceleration Sensors
- 한국전자통신학회
- 한국전자통신학회 논문지
- 제19권 제4호
- 2024.08
- 781 - 790 (10 pages)
현대인들의 운동, 건강 관심도가 늘어남에 따라 운동에 관련된 정보 및 기기들의 수요가 늘어나고 있으며 잘못된 자세로 운동할 시 신체 불균형과 부상을 초래할 수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 사용자들의 올바른 운동 자세를 통한 건강증진 및 부상 예방을 위한 자세교정을 목적으로 한다. 시스템의 주기억 장치로는 Arduino Uno R3와 압력 센서, 가속도 센서를 사용하여 개발하였다. 압력 센서는 스쿼트 자세 판별, 가속도 센서는 일반걸음, 팔자걸음, 안짱걸음 3가지의 걸음걸이 판별을 위해 사용되었다. 데이터를 블루투스 모듈로 스마트폰에 전송하고 App에 표시하여 사용자에게 올바른 운동 자세를 안내해준다. 걸음걸이 판별은 발이 벌어진 각도 20˚를 기준으로 진행하였으며, 올바른 스쿼트 자세는 숙련자의 데이터를 기반으로 전족과 후족의 압력 센서 값의 비율을 비교했다. 따라서 걸음걸이 판별 시 약 90%의 정확도와, 스쿼트 자세 시 압력 센서 값의 비율 7:3을 기준 하에 95%의 정확도를 가지는 실험을 기반으로 사용자가 운동 시 App을 통해 실시간으로 확인하여 올바른 자세로 운동을 할 수 있고, 잘못된 자세로 운동을 진행할 때 교정할 수 있도록 안내해주는 시스템을 구축했다.
As modern people's interest in exercise and health increases, the demand for exercise-related information and devices is increasing, and exercising in the wrong posture can lead to body imbalance and injury. Therefore, in this study,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rrect the posture for health promotion and injury prevention through the correct exercise posture of users. It was developed using Arduino Uno R3, a pressure sensor, and an acceleration sensor as the main memory device of the system. The pressure sensor was used to determine the squat posture, and the acceleration sensor was used to determine three types of gait: normal step, nasolabial step, and saddle step. Data is transmitted to a smartphone through a Bluetooth module and displayed on an app to guide the user in the correct exercise posture. The gait was determined based on the 20° angle at which the foot was opened, and the correct squat posture was compared with the ratio of the pressure sensor values of the forefoot and hindfoot based on the data of the skilled person. Therefore, based on an experiment with about 90% accuracy when determining gait and 95% accuracy based on a 7:3 ratio of pressure sensor values in squat posture, a system was established to guide users to exercise in the correct posture by checking in real time through a smartphone application and correcting exercise in the wrong posture.
Ⅰ. 서 론
Ⅲ. 실험 및 고찰
Ⅳ. 결 론
Referenc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