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중 반의어 비교 연구: 한국어 학습용 반의어를 중심으로
A Comparative Study on Antonyms in Korean and Chinese: Focusing on antonyms for Korean learning
-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 제24권 16호
-
2024.08205 - 221 (17 pages)
-
DOI : 10.22251/jlcci.2024.24.16.205
- 51

목적 본 연구는 문헌 연구법을 통하여 정리한 한국어 학습용 반의어 목록을 바탕으로 한국어와 중국어 반의어의 대응 양상을 고찰하는 데 목적을 두고자 한다. 방법 이를 위해 먼저, 국립국어원의 한국어 교수학습샘터에서 제시한 한국어 교육용 반의어 목록에 근거하여 한국어 학습용 고급 반의어를 총 77쌍 정리하였다. 이어서, 한국어 반의어를 상보 반의어, 등급 반의어, 관계 반의어 등 세 가지로 분류하고 한국어 학습용 고급 반의어 목록을 상보 반의어 31쌍, 등급 반의어 18쌍, 관계 반의어 28쌍으로 나누었다. 마지막으로, 반의어의 특성에 근거하여 한국어와 중국어 반의어의 대응 양상을 제시하였다. 결과 한국어 학습용 반의어를 중심으로 한·중 반의어를 비교 분석한 결과 한국어 상보 반의어는 동의성, 다의성, 형태적 유표성, 의미적 유표성, 어휘적 빈자리로 인해 중국어 상보 반의어와 대응 양상이 다르고 한국어 등급 반의어는 동의성, 다의성, 형태적 유표성으로 인해 중국어 등급 반의어와 대응 양상이 다르며 한국어 관계 반의어는 동의성, 다의성, 형태적 유표성, 의미적 유표성, 어휘적 빈자리로 인해 중국어 관계 반의어와 대응 양상이 다른 것을 발견하였다. 결론 한국어와 중국어 반의어는 동의성으로 인해 한·중 반의어의 대응 양상이 다른 경우, 다의성으로 인해 한·중 반의어의 대응 양상이 다른 경우, 형태적 유표성으로 인해 한·중 반의어의 대응 양상이 다른 경우, 의미적 유표성으로 인해 한·중 반의어의 대응 양상이 다른 경우, 어휘적 빈자리로 인해 한·중 반의어의 대응 양상이 다른 경우가 존재한다.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corresponding types of Korean and Chinese antonyms, which were based on the list of antonyms for Korean language learning derived through literature research methods. Methods To this end, a total of 77 pairs of advanced Korean antonyms were extracted based on the list of antonyms for Korean language education provided by the Korean Language Teaching and Learning Center of the National Language Institute of Korea. Next, the list of advanced Korean antonyms for Korean learning was divided into 31 pairs of complementary antonyms, 18 pairs of gradable antonyms, and 28 pairs of relational antonyms. Results As a result of a comparative analysis of the Korean and Chinese antonyms, focusing on the list of antonyms for Korean language learning, it was found that Korean complementary antonyms had a different correspondence type from Chinese complementary antonyms due to synonymity, polysemy, morphological identification, semantic identification, and vocabulary vacancies. Korean gradable antonyms differed in correspondence from Chinese gradable antonyms due to synonymity, polysemy, and morphological identification. Korean relational antonyms differed in correspondence with Chinese relational antonyms due to synonymity, polysemy, morphological identification, semantic identification, and vocabulary vacancies. Conclusions The corresponding types of Korean and Chinese antonyms were presented as follows. First, synonymity leads to distinctions between Korean and Chinese antonyms. Second, polysemy leads to distinctions. Third, Morphological identification causes distinctions. Fourth, semantic identification causes distinctions. Fifth, vocabulary vacancies cause distinctions between Korean and Chinese antonyms.
Ⅰ. 서론
Ⅱ. 한국어 반의어의 특성 및 목록
Ⅲ. 한국어와 중국어 반의어의 대응 양상
Ⅳ.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0)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