唐代의 과거, 특히 進士科의 시험은 주로 2단계, 즉 지방예비시험으로서의 府州試, 그리고 매년 2월에 시행되는 본시험인 省試(이른바 예부시)에서 선발되었다. 당시, 府州試, 특히 京兆府試를 수석으로 급제하는 것은 사회에서 주목을 받았다. 그것은 이 京兆府試가 늦어도 唐代 후기에는 중요한 지위를 부여받았기 때문이다. 또한 京兆府試의 상위 급제자에는 다양한 ‘특권’이 있었는데, 그것은 시험관의 판단으로 변경이 가능한, 이른바 관습적인 것이었다. 한편으로 그 외 지방에서의 府試·州試에도 많은 수험생이 참가하였으며, 때로는 수험하는 장소를 바꾸는 경우도 있었다. 그 이유의 하나로는 수험생이 예부시 급제를 官界, 文壇에 영향력을 가진 유력자에 구한 것을 들 수 있다. 이 때문에 府州試는 다양한 국면에서 詩歌과 관련되게 되었다. 그 가장 직접적인 것이 府州試에서 출제된 試帖詩이다. 그에 대해서는 현존하는 작품의 태반이 북송 초기에 편찬된 『文苑英華』에 수록되어 있다. 또한 中晩唐에는 굳이 府州試에서 출제된 작품이라는 사실을 명시한 작품도 생겨났다. 이러한 현상에는 唐代, 특히 中晩唐의 府州試에서 지어진 작품에 대한 관심이 높아진 것이 반영되어 있다.
Civil service examination in the Tang dynasty, in particular, jinshi (進士) examination were selected at two stages, namely, fuzhou-shi (府州試) which were performed by local examinations and sheng-shi(省試) (so-called libu-shi (禮部試)) which were performed by final examination in February every year. The community took notice of the person who passed first in fuzhou-shi, particularly Jingzhaofu-shi (京兆府試). It is because jingzhaofu-shi had important status in the late Tang dynasty at least. The higher-ranking persons who has passed the jingzhaofu-shi had various “special privileges”, but that was customs which was possible to change by examiner's judgement. On the other hands, many examinees preparing for taking an examination also participated in other fu-shi (府試) and zhou-shi (州試), sometimes changed the place where take an examination. One of the reasons is because the examinees asked the pass of civil service examination from influential persons in the government service and literary circles. Therefore fuzhou-shi was going to concern poetry by the every aspectss. The most direct thing is the poetry to that was submitted in fuzhou-shi. The most part of works which exists is recorded in “Wenyuanyinghua (文苑英華)” compiled in early North Song.In addition, the works which specify fuzhou-shi was also born in the the latter part of Tang dynasty. Increasing interest in the works which was made in fushuu-shi of Tang dynasty, in particular, the the latter part of Tang dynasty is reflected by these phenomena.
1. 들어가며
2. 府州試의 수석 급제
3. 京兆府試에서의 ‘等第’
4. 지방의 정황
5. 府州試에서의 試帖詩
6. 결론을 대신하여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