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고려대학교 한자한문연구소.jpg
학술저널

[번역] 館學·鄕學·家學 - 조선 영남 가훈 중 과거와 수신의 관계

Education in Seonggyungwan, Township School and Family: The Relationship between Imperial Examination and Self-Cultivation of Yeongnam Family Precepts in Joseon Dynasty

학문에 힘쓰는 것이 반드시 출사를 목적으로 할 필요는 없지만 그렇다고 사대부가 科場을 내버려 두고 홀로 修身의 곳에 처하는 것 또한 유가의 ‘內聖外王’의도를 실천하는 것이라고 보기 어렵다. 『小學』의 전래는 조선 전국을 움직여 위아래로 과거제도, 향교의 학령 및 가정 교육의 방면을 통해 과거와 수신 사이의 미묘한 관계에 대해 새로이 생각하도록 하였다. 본문에서는 조선 왕조의 성균관, 향교 그리고 영남 가훈의 교육 내용을 비교하고 다음과 같은 물음에 관해 연구하였다. 1. 조선의 태종은 과거의 ‘錄名’ 제도를 증설하고 이것으로써 유생들에게 『소학』을 송독하도록 권면하며 수신을 중시하였는데 그 효용은 어느 정도였는가? 2. 관학·향학·가학의 교육 목적에는 각각의 주안점이 있는데 과거와 수신의 관계에서는 어떠한 취사선택을 하였는가? 3. 영남 유생들은 程朱性理學을 존숭하여 전력을 다해 『소학』을 전파하였는데 그들이 영남 가훈에 어떠한 영향을 끼쳤는가? 4. 영남 가훈은 수신을 강조하는 동시에 어떻게 가문의 명성을 수호하면서도 유생들에게 과거에 응시할 것을 권면하여 가문을 영예롭게 하였는가?

The purpose of learning is not to be an official, but if the scholars never participate the imperial examination and only concentrate on self-cultivation, it is impossible to practice the Confucian doctrine of “Sage Inside and king outside” (內聖外王). The spread of “Xiaoxue” (小學) led the Joseon scholars to rethink the delicate relationship between the imperial examination and self-cultivation through the imperial examination system, township School’s curriculum and family education. This paper compares the educational contents of Seonggyungwan, township schools and Yeongnam family precepts of the Joseon Dynasty, and discusses the following topics: 1. Evaluate the effectiveness of the “Nongmyeong” (錄名) examination system in encouraging the Joseon scholars to read “Xiaoxue” and pay attention on self-cultivation. 2. Illustrate the educational purposes of Seonggyungwan, township school and family and their attitudes toward the relationship of imperial examination and self-cultivation. 3. Study the dissemination and interpretation of “Xiaoxue” by Yeongnam scholars and their influences on the content of Yeongnam family precepts. 4. Analyze the discourse that Yeongnam family precepts emphasize self-cultivation with preservation of family reputation simultaneously.

1. 들어가며

2. 『小學』의 전래와 조선의 과거

3. 과거 교육과 修身 교육

4. 영남학파와 영남 가훈

5. 나가며

참고문헌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