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고려대학교 한자한문연구소.jpg
학술저널

명나라 찬획 袁黃의 임진전쟁 당시 공문, 그리고 조선 관료와의 학술 쟁변에 대하여

Ming Advisor (Zanhua) Yuan Huangs Official Documents and Academical Debate with Chosŏn Officials during the Imjin War

DOI : 10.31666/jspklls.2022.3.16.9
  • 16

임진전쟁은 동아시아 삼국의 국제전쟁으로, 명나라 군사가 원군으로 조선에 왔을 뿐 아니라 명나라 문신도 조선에 와서 군무를 보면서 외교 활동을 했다. 그 가운데 袁黃(1533∼1606, 자 了凡)은 咨文과 禁約 등을 통해 조선 군민들에게 필승의 신념을 갖게 하고 명나라 군사의 기강을 바로잡아 조선 신민들에게 해악을 끼치지 않도록 방책을 마련했다. 그러나 다른 한편으로, 조선 조정에 대해 작전권에 간섭하지 말라고 경고했다. 1593년 1월 7일에 원황이 劉黃裳과 함께 작성하여 보낸 것으로 되어 있는 移咨는 候察法의 논리에 근거하여 조선이 得歲하고 왜군은 逆天이므로 패퇴할 수밖에 없다고 주장했다. 18세기 초 李瀷은 이 글의 논법에 주목하여 『성호사설』에서 특별히 언급하게 된다. 하지만 그 후 1593년 3월 20일 유황상과 공동명의로 원황이 작성한 移咨는 조선 관료들이 문필에만 힘쓸 뿐이고 명나라 군사의 사기를 저하시킨다고 비난했다. 중국 명나라와 조선 사이의 불평등한 외교관계가 오만한 언사를 출현하게 했다. 원황은 군사 활동의 決策에 참여할 수 없었으며, 和議를 주장하여 提督 李如松과 갈등을 빚어, 결국 조기에 이임했다. 영조 때 黃景源은 이여송의 업적을 포장하는 반면에 원황의 군무는 평가 절하했다. 한편, 원황은 行朝의 조선 관료들에게 주자학을 버리고 양명학을 교학의 내용으로 삼을 것을 강권했으나, 成渾은 관료들을 대신하여 작성한 答辭에서 그 제의를 배척했다. 다만, 원황의 四書說은 이후 정약용도 論語古今註에서 인용되는 등, 조선후기 지식인들 사이에 일부 참고되었다. 원황이 임진전쟁 때 조선에서 작성한 공문은 騈文이 아니라 對偶를 일부 사용하고 典故의 사용을 억제한 문체여서 문맥의 파악이 용이하다. 이는 임진왜란전에 崔岦의 漢魏古文 양식을 외교문서에 사용하고자 시도한 점에서 알 수 있듯이, 조선 조정이 외교문서의 특별한 문체를 궁구했던 관점을 어느 정도 수정하도록 자극했을 듯하다.

The Imjin War was an international warfare which three East Asian states were involved. Ming army participated as an ally of Chosŏn, and civil officials from Ming came to Chosŏn to deal military affairs and conduct diplomacy. Yuan Huang (袁黃, 1533-1606, courtesy name Lefan) circulated diplomatic documents and military prohibition edicts in Chosŏn. In these documents, he urged Chosŏn people to have confidence for certain victory and promote national glory and sought measures to tighten discipline among Ming army to prevent them from causing harm to Chosŏn people, and warned the Chosŏn government against interfering Ming's jurisdiction over own military operations. The diplomatic document which Yuan Huang and Liu Huangshang sent on January 7, 1593 explained that Japan would be weakened, according to aeromancy, saying Chosŏn gained moment but Japan defied the air. In the early 18th century, Yi Ik noticed its logic as a folk knowledge (local knowledge) and mentioned the document in his Sŏnghosasŏl in particular. However, Yuan and Liu's document in March 20, 1593 denounced that Chosŏn officials are only focusing on literary works and undermining morale of Ming army. Diplomatic inequality of the time let the arrogant words to be tolerated. Yuan was unable to participate in the planning of military operations, and come into conflict with commander Li rusong with his insistence on truce, which led him to resign. Hwang Kyŏngwŏn, in king Yŏngjo's era, praised Li's achievement and devalued Yuan's military administration. Meanwhile, Yuan advised Chosŏn officials in the temporary government house to formally adopt Yangmingism as official learning and discard Neo-Confucianism. However, Sŏng Hon wrote a response as a representative to reject such advice. Yet Yuan's discourse on Four Books was acknowledged and Chŏng Yakyong cited the discourse in his Nonŏgogŭmju later on. Literary style of official documents Yuan wrote during the Imjin war partially adopted parallel structure and restrained usage of references from classics, thus it is easy to understand their context. It is possible that Yuan's literary style had influence Chosŏn government to revise its view on literary style, which was based on Ch'oe Rip's Han Wei classic style writing.

1. 서언

2. 원황의 생애와 저술

3. 명 신종의 出師勅과 원황의 來韓

4. 원황 移咨의 乾象時氣說

5. 원황 찬술의 禁約과 咨文

6. 원황의 箚付 작성과 和議 추진

7. 원황의 四書說에 대한 조선 학자의 비판과 수용

8. 결어

참고문헌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