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고려대학교 한자한문연구소.jpg
학술저널

대한제국기 '南山文社'의 창설과 안일 문인 교류에 대하여

A Study of Establishment of Namsanmunsa (南山文社) and Literary Exchanges between Korean and Japanese Literati

DOI : 10.31666/jspklls.2022.3.16.169

1908년 8월 金允植은 칙서를 받들고 英親王을 문후하기 위해 동경으로 떠난다. 이 방문에서 김윤식은 7월 29일 末松謙澄의 芝城山館에서 열린 연회에 참석하여 당시 일본의 정치ㆍ문화계의 핵심 인사들과 시문 창화를 하고, 8월 중순에는 末松謙澄, 森大來 등과 日光과 妙義山 일대를 유람하면서 시문을 창화하였다. 그런데 이 일이 있기 두 해 전인 1906년 4월, 서울에서는 ‘南山文社’라고 하는 한일 문인 시문교류회가 창설되어, 같은 해 8월까지 매우 짧은 기간의 활동한 일이 있다. 이 남산문사는 어떤 목적으로 창설되었고 어떤 인물들이 참가하였을까. 또 이 모임에서는 어떤 시들이 지어졌으며 어떠한 내용을 담고 있을까. 그리고 이 모임이 오래 이어지지 못하고 5개월 만에 폐지된 이유는 무엇일까. 본고는 남산문사의 시문교류 활동과 그 의의에 대해 고찰하고자 한다.

In August of 1908, Kim Yunsik (金允植), receiving the edict, left for Tokyo to pay his respect to Prince Yŏngch'in. During this visit, he attended a banquet held at the Sibazo mountain cabin of Suematu Kencho (末松謙澄) on July 29, exchanging poems with key figures in Japanese political and cultural circles at the time, and in mid-August, he traveled with Suematu Kencho, Mori Tairai (森大來), and others around Nikko (日光) and Mount Myogi sharing poetry with them. However, in April 1906, two years before that, a Korean-Japanese writers’ poetic exchange association called ‘Namsanmunsa (南山文社)’ was established in Seoul, and it was active for a very short period of time until August of the same year. For what purpose was this association founded and who participated in it? What poems were written in their gatherings and what were their contents? Why this literary exchanges did last for only five months? This paper explores Namsan Munsa’s poetic exchange activities and their significance.

1. 들어가며

2. 남산문사의 창설과 모임

3. 남산문사에서의 시문창화

4. 남산문사의 참가자

5. 나오며

참고문헌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