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고려대학교 한자한문연구소.jpg
학술저널

[번역] 明代 袁黃 編『尙書』류 擧業용 서적에 대한 고찰

An Investigation of the Shangshu (尙書) Type of Preparation Books for the Imperial Examination Compiled by Yuan Huang in the Ming Dynasty

DOI : 10.31666/jspklls.2022.3.16.298
  • 3

과거 학계에서는 과거 시험의 제도, 科榜의 명단, 試券 출제 등의 방면을 통해 각 조정에서 인재를 선발한 양상에 대해 조사하였다. 그러나 이것은 官方의 측면에서 과거 제도를 이해한 것으로, 관방의 측면에서 진행된 과거 연구 외에 坊間의 서생들과 유자들이 앞다투어 전하고 열람한 擧業용 도서를 통해 당대의 학자들이 과거 시험을 준비한 情狀에 대해서도 연구해야 한다. 그러나 거업용 도서들은 그 목적성이 뚜렷하다는 이유로, 명청 시기에는 兔園冊子 부류로 여겨졌기 때문에 官府에서 수집하지 않거나 혹은 금지하였고, 장서가들 또한 수집하여 소장하지 않은 관계로 중요한 도서의 목록들이 대체로 기록되어 있지 않다. 그후로 또 天災와 人禍로 인해 대부분 일실되어 完整한 상태로 남아 전해지는 것이 드물다. 다만 필자가 주목하는 것은, 한국과 일본의 도서관에 여전히 중국 본토에서는 일실된 거업용 도서들이 조금이나마 남아있다는 것이다. 이러한 서적들은 당시에 조정의 禁毀와 학자들의 경시를 받았기 때문에 후대에 전해지지 않았을 가능성이 매우 높은데, 전쟁 혹은 외교 사신의 교류로 인하여 간접적으로 외국으로 반출되어 도리어 이역에서 양호하게 보존되고 있는 것이다. 예컨대, 『了凡四訓』로 후세에 이름이 알려진 袁黃(1523~1606)의 편저도 그 중 하나이다. 따라서 본문의 취지는 그가 편찬한 『尚書』류 거업용 서적들을 고찰하는 것을 제목으로 삼고, 그것이 流傳된 정황에 대해 탐구하는 것이다. 연구 결과에서 보여주는 것은 원황의 『상서』류 편저들이 대체로 해외에 소장되어 있으며 동아시아에 소장된 본은 특히나 왕실이나 제후들의 장서에 수록되어 있다는 사실인데, 이는 명청시기 관방의 태도와는 사뭇 다른 점이 있다. 사실상 거업용 책이 전부 좋지 못한 것은 아니며, 현대 학술적 관점에서 볼 때 적어도 몇 가지 가치는 가지고 있다. 먼저 오늘날 擬題형 거업 서적을 통해 당시 학자들이 경서를 탐독하여 시험에 응시했을 때의 준비 방향과 내용을 알 수 있다. 상품 경제적 측면에서 본다면, 거업용 서적들이 명청시기 출판업의 발달을 이끌었으며, 적게나마 훌륭한 작품이 있어 四庫館臣의 좋은 평을 받기도 했다. 그리고 類書형 거업용 서적들은 산실된 문헌을 輯佚하는 일에 보탬이 될 수 있으므로 그 학술적 가치를 완전히 말소시켜서는 안 된다.

In the past, academic circles mostly learned about the recruitment of scholar-bureaucrats in the various dynasties from the aspects of the imperial examination system, the list of successful candidates, and the examination questions. However, this is to understand the imperial examination system from the official level. Besides conducting research on the imperial examination from the official level, one should also understand how scholars prepared for the examinations from the preparation books that they scrambled to circulate. However, due to their being too examination-oriented, these books were somehow regarded as like children’s books in the Ming and Qing dynasties. The government did not accept nor prohibit them; bibliophiles did not collect them, and many important book catalogues did not include them. Later, with natural and man-made disasters, most of these books were lost, and very few could be completely preserved. Nevertheless, the author noticed that some of these books lost in China are found in the libraries of Korea and Japan. These books were probably banned by the imperial court and despised by scholars at that time and could not be passed down. They were, however, indirectly brought to foreign countries due to wars or exchanges between diplomatic envoys and were well preserved there. For example, Yuan Huang (袁黃, also known as 袁了凡, Yuan Liao-fan, 1523~1606) who was famous in later generations for his Liaofan Si Xun (了凡四訓), is one of the authors. Therefore, this study investigates their spread of these books based on the investigation of Shangshu (尚書) and other similar preparation books for the imperial examination. The research results show that most of Yuan Huang's Shangshu (尚書) kind of books are collected overseas, such as South Korea, and Japan. The East Asian Collection is even included in the collections of the royal family and princes, which indicates quite a different attitude from the official attitude of the Ming and Qing Dynasties. In fact, preparation books for the imperial examination are not necessarily bad. From a modern academic point of view, they have at least some points of value. First, through the mock-questions-type preparation books, one can understand the direction and content of the preparation among the scholars when they studied the scriptures. From the perspective of the commodity economy, the preparation books for the imperial examination had driven the development of the publishing industry in the Ming and Qing Dynasties, a few of which were good works commended by the Si Ku ministers(四庫館臣). The encyclopaedia-type of preparation books also contributed to the collection of lost and scattered documents, and so their academic value cannot be completely ignored.

1. 前言

2. 袁黃과 그의 舉業용 서적

3. 袁黃의 『尚書』류 편저의 상호 관계

4. 결어 : 舉業용 書續의 당대적 의의

참고문헌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