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고려대학교 한자한문연구소.jpg
학술저널

愚谷 李敦秀의 「金剛記」 考察

A Study on “Geumgang-gi” of Ugok Lee Don-Su

DOI : 10.31666/jspklls.2022.3.16.357
  • 2

이 글은 愚谷 李敦秀(1767~1799)의 「金剛記」를 대상으로, 그 특징적인 면모를 고찰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愚谷 李敦秀(1767~1799)는 延安 李氏 가문에서 33세로 사망하기 전까지 다양한 저술을 남겼으며, 생황과 풍류를 즐기던 인물이다. 이돈수가 금강산을 유람한 동기는 산수유람이 활발해진 시대 상황, 평소 유람을 좋아하던 성향, 금강산에 대한 간접적 경험이 가능케 한 집안의 환경이 합해진 것으로 보인다. 「금강기」는 1795년 3월 12일부터 34일 동안 17명의 일행이 금강산과 영동지방을 이동한 과정을 매우 상세하게 기록한 유람기이다. 신분의 高下에 상관없이 일행의 이름과 에피소드를 함께 수록하였다. 이를 통해 금강산 유람을 기념하는 마음과 노비의 수고를 인지하고 그들을 여행의 일원으로 여기는 태도가 드러난다. 행구의 제시는 유람의 준비물과 현지에서의 활용도를 가늠할 수 있다. 34일의 유람 기간 중 금강산 내의 유람 기간은 11일로 당대 문인들과 동일한 경향을 보인다. 「금강기」 뒤에는 「路程記」를 수록하여 각각의 이동거리와 방문지를 기술하였다. 「노정기」는 거리를 수치화하였다는 점에서 문학적 측면이 부각된 「금강기」에 정보서로서의 가치를 더했다. 「금강기」는 구체적인 견문의 묘사를 통해 사회 문제를 인식했다. 특히 승려와 지역 백성을 세밀하게 기록하였는데, 士族임에도 불구하고 하층민의 시각을 이해하고 공감하였을 뿐만 아니라 부당한 상황에서 목소리 내지 못하는 이들을 대변하고 옹호해 주었다. 또한, 이돈수는 유람오기 전 다양한 자료를 탐독하였다. 그중에는 선조의 기록이나 그림, 선행자의 경험담 등이 있다. 전대의 자료를 바탕으로 경로를 재구성하고 자신의 의견을 더해 산수를 품평하였다. 선대의 기록을 무조건적으로 수용하지 않고 공간을 입체적으로 구성하여 더욱 다채롭고 독자의 흥미를 불러일으켰다. 「금강기」는 조선 유기 문학사를 풍부하게 만드는 하나의 자료로서, 유람의 객관적 정보와 여러 의론을 제시하는 18세기 이후 유기문학의 특징이 잘 드러난다. 아울러 새로운 작가와 작품 소개를 넘어 연안 이씨 가문의 가계 문학 전승 양상을 더욱 다양한 각도로 조망할 수 있다는 의의를 가진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characteristic aspects of 愚谷 李敦秀 (1767~1799)'s “Travel to the Geumgang Mountain (Geumgang-gi; 金剛記).” Ugok Lee Don-Su member of the powerful Yan’an - Lee clan (延安李氏). Lee Don-Su produced various writings until he died at the age of thirty-two, and he was a person who enjoyed “SaengHwang (笙簧)”(Korean wind instrument) and appreciated the arts. The motivation for Lee Don-su's excursion to Mt. Geumgang (金剛山) seems to be the combination of the historical background when nature-based excursions became popular, his personality who usually enjoys excursions, and the family environment that made it possible to have an indirect experience of Mt. Geumgang. “Geumgang-gi” is a travel essay that records the process of moving between Mt. Geumgang and Yeongdong in a very detailed for thirty-four days from March 12th, 1795. Regardless of their hierarchy, their names and episodes are recorded together to commemorate the journey to Mt. Geumgang, and the attitude of recognizing the hard work of slaves and treating them as members of the journey is revealed. It is possible to grasp the preparations for the excursion and to estimate the utilization in the field from the presentation of the travel supply in the essay. During the thirty-four days of traveling, the excursion period in Mt. Geumgang was eleven days, showing the same trend as the literary people of the same period. After “Geumgang-gi”, “itinerary record (Nojeong-gi, 路程記)” is included to describe the distance of the traveling and the places visited. “Geumgan-gi” emphasizes the literary aspect. However, the fact that “Nojeong-gi” contained the digitized distance, added value as an information book. “Geumgang-gi” recognized social problems through detailed descriptions of experiences. In particular, the monks and the local people were recorded in detail. Even though the writer was a nobility (士族), he understood and sympathized with the views of the lower classes, as well as represented and defended those who could not speak out in unfair circumstances. In addition, Lee Don-Su devoured various materials, including the records and paintings of ancestors and experiences of predecessors before going to the travel. Based on the data from the previous generation, he reconstructed the path and evaluated arithmetic by adding his own opinions. Rather than unconditionally accepting the records of his predecessors, he composed the space three-dimensionally, making it more colorful and arousing the reader's interest. “Geumgang-gi” is one of the materials that enrich the history of Joseon’s travelogue. And it is well-disclosed that the characteristics of travel essay since the 18th century that provide objective information and various theories of sightseeing.

1. 서론

2. 이돈수의 생애와 유람 동기

3. 「금강기」의 서술상 특징

4. 「금강기」의 내용상 특징

5. 결론

참고문헌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