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고려대학교 한자한문연구소.jpg
학술저널

『시화총림』 소재비시화연: 시화의 분류와 항목화에 대한 논의를 중심으로

A Study of ‘Comparative Poetry Talks’: Focusing on the Classification and Itemization of Poetry Talks in Sihwachonglim

DOI : 10.31666/jspklls.2023.3.17.43
  • 19

이 연구는 기존에 논의하였던 「데이터 기반 시화 연구 방안 모색」에 더하여, 시화를 더욱 체계적으로 데이터화하는 방안을 시화총림이라는 표본 자료의 분석을 통해 논의해 보고자 한다. 구체적으로는 본 연구에서 전면에 두고 사용한 ‘比較詩話’라는 용어가 어떠한 문제의식에서 사용되었으며 어떤 부분에서 효용이 있는지를 논하고, 예시를 통해 구체적으로 세분화하여 살피는 작업을 선행한 후 각각의 특징적인 부분을 들어 시화를 효율적으로 데이터화하는 방안에 대해 논의하여 보고자 한다. ‘비교시화’의 구분 및 세부 분류를 통해 시화총림 데이터베이스의 구축과 관련하여 특히 그 ‘비평’ 항목의 세부 항목을 재조직하고 그 의의를 살피는 데에 이 연구의 의의가 있다.

In addition to the previously discussed “A Foundational Design for Creating a Poetry Talk (詩話) Semantic Data Archive,” this study aims to explore ways to systematically collect data on Poetry Talk using sample data called ‘SihwaChonglim.’ Specifically, we will discuss the significance of the term ‘Comparative Poetry Talk’ used in this study, its usefulness, and ways to efficiently collect data on Sihwa by examining each characteristic component through detailed examples. The study is particularly significant in that it reorganizes the detailed elements of the ‘Critique’ section and explores their relevance to the development of the ‘SihwaChonglim’ database through the classification and detailed categorization of ‘Comparative Poetry Talk’.

1. 서론

2. ‘비교시화’의 선별과 분류

3. ‘비교시화’와 그 종별 소분류

4. ‘비교시화’를 통해 본 ‘비평’ 항목의 재분류

5. 결론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