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고려대학교 한자한문연구소.jpg
학술저널

[번역] 『蘭雪軒集』 소재 적색 계열 색채어 연구

A Study on the Terms on Red Color in Nanseolheonjip

DOI : 10.31666/jspklls.2023.3.17.221
  • 5

본 연구는 『蘭雪軒集』에 수록된 적색 계열의 색채어에 대해 고찰하였다. 『蘭雪軒集』 소재 색채어는 대부분 도교 사상, 閨怨, 宮怨과 관련이 있거나 일반적인 사람ㆍ사물을 형용하는데 사용되었다. 본고에서는 색채어를 크게 神仙類ㆍ女性類ㆍ宮廷類ㆍ形物類 4가지로 분류하여 체계적으로 許蘭雪軒의 작품의 다양한 풍격과 색채를 연구하였다. 許蘭雪軒은 색채어를 풍부한 도교 사상, 여성 사상, 궁정 생활과 결합시키며 여성적인 색채를 통해 자신의 불우함과 삶에 대한 절망을 도가의 세계로 전이시켰다. 또한, 다양한 색체어로 선계의 이미지를 묘사하여, 사람으로 하여금 流連忘返하게 하는 선계로써 세속 생활에서 향유할 수 없는 아름다운 愛情과 親情 및 조선의 여자로서 겪는 고통을 표현하였다.

This study focused on the Color Term Red in Nanseolheonjip. Most of the Color Term Red in Nanseolheonjip were related to Taoist ideas, women’s remorse and sorrow of maids, or were used to describe general objects. Therefore, in this paper, the usage of various styles and colors written by Heo Nanseolheon were systematically studied by classifying them into four categories: Taoist description, feminine description, palace related description and general description. Heo Nanseolheon combines color terms with rich Taoist ideas, feminine ideas, and palace life, and it can be seen that through feminine colors, she transferred her unhappiness and despair of life to the world of Taoism. In addition, the image of the Taoist Immortal World was depicted in various color terms to express the beautiful love and kinship on marriage, life, and family which cannot be enjoyed in the secular life, and the tragic fate of Joseon women.

1. 서언

2. 『蘭雪軒集』 소재 적색 계열 색채어

3. 결어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