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고려대학교 한자한문연구소.jpg
학술저널

‘2022 개정 한문 교육과정중 ‘인성’ 관련 목표 분석

An Analysis on Learning Objective Related with ‘Personality’ in the ‘2022 Revised Classical Chinese Curriculum’

DOI : 10.31666/jspklls.2023.3.17.279
  • 17

본 연구는 ‘2022 개정 한문과 교육과정’ 중 ‘인성’ 관련 목표를 연구 대상으로 삼아 이전의 한문과 교육과정 내 관련 항목과 비교하여, 한문과 교육과정에서 규정한 ‘인성’ 관련 목표의 특징에 대해 분석하였다. 특히 ‘2015 개정 한문과 교육과정’에서 ‘漢文과 人性’ 영역을 핵심 개념으로 새롭게 제시하였으므로 ‘2015 개정 한문과 교육과정’을 기반으로 편찬한 한문 교과서에서는 ‘인성’ 관련 목표가 어떠한 학습 요소를 통하여 구현되고 있는지에 대해서도 살펴보았다. 그 결과, 첫째, 교수요목기 이후 ‘2015 개정 한문과 교육과정’ 및 ‘2022 개정 한문과 교육과정’에서 제시한 ‘인성’ 부분의 궁극적인 목표는 한문 자료를 매개로 한 내용중심의 지식교육을 통하여 학습자의 가치관이나 태도를 형성하는 것에 중점을 두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구체적으로는 ‘도의 앙양’, ‘인격 도야’, ‘자기 수양’, ‘건전한 생활 윤리’, ‘민주적 생활 태도’, ‘건전한 가치관’, ‘바람직한 인성’, ‘미래 사회에 필요한 인성’의 함양을 통하여 자기 삶에 적용하고, 타인과 더불어 살아가기 위한 올바른 인성 함양을 목표로 하고 있음을 파악하였다. 특히, ‘2022 개정 한문과 교육과정’에서는 ‘인성’ 관련 영역을 별도로 설정하지 않은 반면, ‘7차 교육과정’부터 ‘2015 개정 한문과 교육과정’의 ‘인성’ 관련 영역에서는 공통적으로 ‘건전한 가치관’과 ‘바람직한 인성’을 목표로 선정하였다. 그리고 이 목표는 ‘전통 문화의 이해’, ‘선인들의 삶과 지혜에 대한 이해’, ‘선인들의 사상과 감정에 대한 이해’를 통하여 도달하도록 제시하였다. 둘째, 현재 학교에서 사용 중인 한문 교과서 내 ‘인성’ 관련 내용을 분석한 결과, ‘2015 개정 한문과 교육과정’ 내 여러 ‘핵심 개념’에 비하여 ‘인성’ 관련 부분이 실제 교과서에 출현 빈도가 높을 뿐만 아니라 학습 요소도 다양하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구체적으로, 교과서마다 상이하지만 평균 10개 내외의 ‘인성’ 관련 학습 요소가 제시되었고 많게는 18개의 학습요소가 제시된 경우도 있었다. 그리고 비중이 높은 ‘인성’ 관련 학습 요소는 ㉠ 나눔과 배려, 우정, 효, 가족애, 고운 말 사용, 신중한 언행, 선행. ㉡ 애국, 애민, 국토의 소중함, 공동체 생활. ㉢ 배움의 즐거움, 습관 형성, 진로에의 열정 순이었다. 한편, ‘인성’ 부분은 실천적 교육이 필요함에도 불구하고 한문과 교육과정 내에는 이를 효과적으로 실행할 수 있는 구체적인 방법을 제시하지 못하고 있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한문과 교육과정에서 ‘인성’의 학습 요소를 구체적으로 제시하지 않음으로 인하여 교과서마다 제시한 학습 요소가 너무 다양하다는 것, 학습 요소를 범주화할 수 없다는 점은 개선되어야 할 필요가 있었다. 그러므로 한문과 교육과정에서 ‘인성’의 개념을 구체적으로 규정하고, 한문과에서 다루어야 할 ‘인성’의 세부 학습 요소를 제시해야 하며, 더불어 학교급별 ‘인성’의 학습 요소 및 성취기준을 차별화하여 제시해야 함을 제언하였다. 본 연구를 통하여, ‘2022 개정 한문과 교육과정’에서 제시한 ‘인성’ 관련 내용에 대한 충분한 논의가 이루어지고 이후 한문 교과서 제작에 있어서 앞에서 제시한 문제가 개선될 것으로 기대한다.

This study made ‘2022 Revised Classical Chinese Curriculum’ as a subject of study. By comparing to the previous ‘Curriculum of Korean Classical Chinese Education’ this study contemplated the ‘Personality’ characteristic which ‘Curriculum of Korean Classical Chinese Education’ regulated. Furthermore, I studied how ‘Classical Chinese and Personality in Korean Curriculum’ is shown recently. First, after ‘The First Curriculum’, I found that the ultimate purpose of the present ‘2022 Revised Classical Chinese Curriculum’ is to build value and attitudes of learners. Second, I was able to find out that in ‘2022 Revised Classical Chinese Curriculum’, the sections which are related to the ‘Personality’ have not only the high frequency of appearance but also have various learning elements than the ‘Essential Concepts’ in it. In addition, I found that meanwhile, despite the ‘Personality’ section’s requirement for the actual curriculum, in ‘Classical Chinese Curriculum’, they were not able to suggest the definite way to practice it efficiently. Also, as they did not provided learning elements of the ‘Personality’ clearly, the learning elements which every ‘Classical Chinese Textbook’ contains became quite various and had difficulties in categorizing the Learning Elements, which needs to be improved. Therefore, ‘2022 Revised Classical Chinese Curriculum’ arranged regulating the definition of the ‘Personality’ clearly, providing its detailed learning elements and achievement standards which should be instructed in ‘Classical Chinese’ subject according to the school levels as the improvement plan. Through this study, I expect that the aforementioned problems will be improved through the enough discussion related to ‘Personality’ in the process of producing Classical Chinese textbooks based on the ‘2022 Revised Classical Chinese Curriculum’.

1. 서론

2. 한문과 교육과정 내 ‘인성’ 관련 목표

3. 한문 교과서 내 ‘인성’ 관련 학습 요소

4. 제언

5. 결론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