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고려대학교 한자한문연구소.jpg
학술저널

어문 정책에 따른 漢字敎育 정책 변천 과정 연구

A Study on the Process of Changing the Chinese Character Education Policy as the Korean Language Policy Changes

  • 60

본 연구는 한국의 공식적인 문자 표기 방식이 한자에서 한글로 전환되는 1894년 高宗 勅令 반포를 기점으로, 이후 어문 정책에 따라 한국의 漢字敎育 정책이 변천되는 과정과 그 특징을 고찰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시기별 어문 정책과 그에 따른 한자교육 정책 변천 과정의 특징과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시기별 어문 정책이다. 1894년 ‘고종 칙령’, 1948년 ‘한글 전용에 관한 법률’, 2005년 ‘국어기본법’ 등이 한자교육 정책에 영향을 미친 주요한 정책, 법규였다. 둘째, 어문 정책에 따른 한자교육 정책이다. 어문 정책이 시행됨에 따라, 한자 폐지론, 초ㆍ중등학교 한자교육, 국어과에서의 한자교육, 한자 병기, 상용한자 제정, 한문교육용 기초한자 제정 등 한자교육 정책이 시행되었다. 셋째, 향후의 한자교육 정책에 대한 提言이다. 기존 어문 정책과 한자교육 정책에 대한 검토를 통해, 향후 한자교육 정책을 제안, 수립, 시행하는 데에 필요한 방안을 제안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어문 정책에 따른 한자교육 정책 변화의 양상을 구체적으로 살펴보면서 그것의 특징과 시사점을 분석하였다. 이를 통해 국가 차원의 어문 정책이 한자교육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할 수 있었다. 향후 한자교육 정책의 방향을 모색하는 데에 일정한 도움이 될 것으로 생각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tudy the process and characteristics of changes in Korean Chinese Character Education Policy according to the Korean Language Policy after 1894. The characteristics of the Chinese Character Education Policy change process according to the Korean Language Policy by period are as follows. First, it is the Korean Language Policy according to the periods. The Chinese Character Education Policy was related to the ‘Order of King Gojong’ in 1894, the Act on the ‘Exclusive Use of Hangeul’ in 1948, and the ‘Framework Act on the Korean Language’ in 2005. Second, it is the Chinese Character Education Policy according to the Korean Language Policy. According to the Korean Language Policy, Chinese Character Education policies were implemented, including the abolition of Chinese characters, Chinese character education in elementary and secondary schools, Chinese character education in the Korean language subject, writing Chinese characters with Hangeul side by side, enactment of Commonly used Chinese character and Chinese characters used when educating Chinese characters. Third, an opinion on the future Chinese Character Education Policy. Through a review of the existing Korean Language Policy and Chinese Character Education Policy, the measures necessary to propose, establish, and implement the Chinese Character Education Policy in the future were proposed. In this study, the characteristics were analyzed by examining the process of change in Chinese Character Education Policy according to the Korean Language Policy in detail. Through this, it was possible to find out the effect of the Korean Language Policy at the national level on Chinese Character Education. In conclusion, it is thought that it will help to find the developmental direction of the future Chinese Character Education Policy.

Ⅰ. 서론

Ⅱ. 어문 정책과 한자교육 정책 : 1945년 이전

Ⅲ. 어문 정책과 한자교육 정책 : 1945년 이후

Ⅳ. 어문 정책에 따른 한자교육 정책의 특징

Ⅴ. 한자교육 정책에 대한 제언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