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고려대학교 한자한문연구소.jpg
학술저널

[번역] 19세기 싱가포르의 漢籍 出版에 대한 略述

A Brief Account of Singapore’s ChinesePublications in the 19th Century

방대한 양의 漢籍 자료는 깊이 연구할 만한 가치가 있는 寶庫이다. 다년간 학자들이 쌓아 올린 한적 연구의 성과는 크고 많지만 싱가포르에 대한 관심은 적은 편이었기에 본고를 통해 약간의 기여를 더 하고자 한다. 본고에서는 19세기 싱가포르의 한자 출판물에 대해 종교 서적, 신문, 어학 사전 등을 중심으로 살펴보았으며 한 분야 당 하나의 출판물을 개별적으로 소개하였다. 종교 서적 분야에서는 싱가포르 국가 도서관에서 소장하고 있는 가장 오래된 현지 출판 서적인 『全人矩矱』에 대하여 설명하였다. 신문 분야에서는 동남아시아에서 가장 이른 시기에 화교가 발행한 신문인 『叻報』에 대하여 설명하였다. 어학 사전 분야에서는 福建省 泉州와 漳州 방언의 병음을 사용한 말레이어 학습서인 『華夷通語』에 대하여 설명하였다.

The massive amount of information in the Chinese books are worth exploring, and the academia has accumulated ample research results from the study of Chinese books, while less attention has been drawn to Singapore, which is what this paper looks at. Looking at Singapore’s Chinese Publications in the 19th century, they mainly consist of religious books, newspapers and language dictionaries. This paper introduces one publication of each category. In terms of religious books, the oldest collection of locally published Chinese book in the National Library Board, “Quan Ren Ju Yue”,will be discussed. In terms of newspapers, the earliest Chinese self-managed daily newspaper in Southeast Asia, “Lat Pau”,will be discussed. In terms of language dictionaries, using the dialect of Fujian Quanzhou and Zhangzhou as a romanization system for the learning of the Malay language, “Hua Yi Tong Yu”, will be discussed.

1. 들어가며

2. 『全人矩矱』

3. 『叻報』

4. 『華夷通語』

5. 結語

참고문헌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