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고는 각종 문인 일기, 도서관 기록, 신문 기사 등을 사료로 삼아, 홍콩의 각 대학들이 고전적을 정리, 수장한 경위를 살피고, 홍콩의 각 대학 도서관 장서가 南來文人의 문화 중심 및 전시 피난처가 됨으로써 성공적으로 중국 각지의 귀중서를 보존한 양상을 고찰한다. 또한 본고는 전후에 홍콩의 도서관이 체계화, 디지털화를 통해 서적을 국제적인 수준으로 끌어올림으로써 학계에서 주목받는 한적 학술권의 주요 지역 중 하나가 된 까닭을 살핀다. 마지막으로 본고는 홍콩의 한적 유통과 수장의 역사를 사례로 삼아 독서사와 서적 수장 간의 관계에 대한 새로운 연구 관점을 제공한다.
This paper attempts to examine the situation of the Chinese classics collection in the universities of Hong Kong through the historical texts of literati’s dairies, library archives and newspaper reports. These collections can explain how Hong Kong became the cultural center of south-coming scholars and shelter of world war II in the 20th century to protect the valuable book collections from mainland China. Besides that, this paper also explains how the libraries of Hong Kong universities to demonstrate these book collections in the international academia through the library systematic and digitalized development. In all, this paper will elaborate how the history of book collection and circulation in Hong Kong can provide new perspective in the academia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history of reading and book collection.
1. 들어가는 말
2. 홍콩대학(港大)의 설립과 中文圖書館의 건립 계획
3. 戰時 한적 수집과 華人 문화의 계승
4. 2차대전 후의 고전적 정리와 계통화
5. 국제화 및 데이터화 된 홍콩 고전적 컬렉션
6. 나가며: 독서사와 문화사의 시각에서 본 홍콩 고전적의 수장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