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한국문집을 효율적으로 번역하기 위하여 ‘어휘 용례 집성’ 구축이 필요함을 강조하면서, 아울러 ‘어휘 용례 집성’ 구축 방안을 제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본 ‘어휘 용례 집성’은 중국 원전에 출전을 두면서 그 의미와 형태가 다양하게 변용되어 쓰인 어휘가 다수 등장하는 한국문집을 번역하기 위해서는 어휘의 의미를 정확하게 이해하는 것이 필요하다는 점에 주목한 것이다. 즉 四書五經및 『史記』, 『漢書』, 『後漢書』 등의 어휘가 한국문집에서 ‘일반적으로 사용된 용례’와 ‘변용되어 사용된 용례’를 체계적으로 수합·분류·분석 및 번역하되, 그 표제어와 용례를 한국문집에서 사용되는 실제적인 사례를 중심으로 집성함으로써, 한국문집을 번역할 때에 그것을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어휘 용례 집성’ 구축 방안으로 첫째 어휘 용례 표제어 선정의 원칙제정, 둘째 중국 유가경전 및 역사서 내 표제어 선정, 셋째 한국문집의 용례 제시 및 번역, 넷째 한국문집 번역을 위한 ‘어휘 용례 집성’ 완성 등을 단계적으로 제시하였다. 이러한 방식으로 ‘어휘 용례 집성’이 구축되고, 또 그것을 여러 연구자가 적극 활용한다면 앞으로의 한국 고전번역 사업에 보다 높은 정확성과 효율성을 제고할 수 있을 것이며 한국 한문고전 번역의 질을 획기적으로 향상시킬 수 있을 것이다.
This research suggests the importance and ways of establishment of Vocabulary Usage Database for Translation of Korean literary collections in Classical Chinese. Because vocabulary used in Korean literary collections diversified from its original context in Chinese classics, database of those adopted words is needed. 1) Collecting vocabularies from 四書五經, 史記, 漢書, and 後漢書2) Systemically categorize, analyze and translate their “general usage” and “adopted usage” 3) Selecting headwords and examples that are actually used in Korean literary collections for practical use. To establish the database, this thesis suggests four steps: First, Criteria for selecting headings. Second, headings from Confucian Classics and history books. Third, examples from Korean literary collections and its translation. Fourth, establishing the database for translating Korean literary collections. This database will help to improve accuracy and efficiency of translating Korean literary collections and help translators and scholars in the field.
1. 서론
2. ‘어휘 용례 집성’ 구축의 필요성
3. ‘어휘 용례 집성’ 구축 방안
4. 결론 - ‘어휘 용례 집성’ 구축의 의의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