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글은 이수광의 생애와 『지봉집』에 대한 간략한 소개 글이다. 우선 이수광의 가계를 통해 그가 조선 중기를 대표하는 문인, 학자로 성장하고 정치적 교유를 하지 않았던 배경을 살폈다. 이어 그의 생애를 과거급제와 계축화옥, 인조반정을 기준으로 크게 4시기로 구분하여 살폈다. 그 결과 이수광은 문과에 급제한 이후 잠시 은거생활을 하기도 했으나 생애 전반을 통해 볼 때 수많은 국내의 내·외직을 역임하고 해외 사신으로 크게 활약했음을 알 수 있었다. 다음으로 『지봉집』의 간행 경위, 체제와 내용, 가치와 의의를 차례대로 살폈다. 『지봉집』 간행은 이수광 사후에 아들 성구와 민구가 부친의 자편 원고를 수집 정리하고 제가의 애도 시문과 서·발문을 첨가하여 1633년 의령에서 총 31권, 부록 3권의 목판으로 간행하였다. 『지봉집』은 크게 시와 산문으로 구분된다. 시의 경우 권1~7은 시체별 편차 방식으로, 권8~20은 시기별 편차 방식으로 구성되어 있다. 산문의 경우 권21~23에는 관료생활 중에 쓴 공용문과 일상생활 중에 쓴 글의 다양한 문체가 혼재되어 있고, 권24~31에는 노년기에 학문과 수양을 통해 사색하고 깨달은 단편의 글 738조목이 실려 있다. 『지봉집』의 가치와 의의는 크게 세 가지로 요약된다. 첫째 해외 교류의 측면에서 세계 인식의 폭을 확대하고 우리 문학의 세계화에 기여하였다. 둘째 문학적 측면에서 16C말~17C초 문단의 당시풍 추구와 유행을 보여주는 자료이다. 셋째 학문적 측면에서 조선 지식인의 자기 경계와 검열, 학문적 수양의 실상을 살필 수 있다.
This paper presents a brief introduction about Lee Su-gwang's life and Jibongjip. The study first examined the background behind his growth into one of the greatest literary figures and scholars in middle Joseon and his involvement in no political associations through his family tree. The study then divided his life into four major periods based on his passing in the state exam, Gyechukhwaok[癸丑禍獄], and InJo-Coup[仁祖反正] and found that he held government office in and outside the capital many times and played very active roles as an overseas envoy throughout his life except for a short retirement after his passing in the state exam for civil servants. The study also examined the publication details, system and content, and value and significance of his Jibongjip. After his death, his sons Seong-gu[聖求] and Min-gu[敏求] gathered and arranged his manuscripts, added prose, verse, letter, and postscript works by the whole family, and published total 31 volumes and three supplements in woodblock in Uiryeong[宜寧] in 1633. His Jibongjip consists of prose and poetry. Volumes 1~7 contain poetry works in the style-based edition approach, and Volumes 8~20 do in the period-based edition approach. As for prose works, Volumes 21~23 offer a mix of his various writing styles including his official documents from his life in government office and his writings based on daily life. Volumes 24~31 contain 738 short works that he wrote after his thinking and realization based on study and cultivation in old age. The value and significance of Jibongjip can be summarized in three major aspects: first, it expanded the breadth of people's perceptions of the world and contributed to the globalization of our literature in terms of overseas exchange; secondly, it shows the pursuit and vogue of Tang-style poetry in the literary circles in the late 16th century~early 17th century in terms of literature; and finally, it helps to understand the self-vigilance, censorship, and academic cultivation of intellectuals in Joseon in terms of study.
1. 머리말
2. 이수광의 가계와 생애
3. 『지봉집』의 편찬 및 간행
4. 『지봉집』의 체제와 내용
5. 지봉집의 가치와 의의
6. 맺음말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