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한국상고사학보 제125호.jpg
KCI등재 학술저널

中國 禮制 形成過程의 考古學的 檢討

An archaeological review of the formation process of ritual system in China

DOI : 10.18040/sgs.2024.125.5

본고는 중국 선사 및 상고 시기 문명 및 국가 형성 과정 연구의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 예제(禮制)에 주목하여 고고자료와 중국의 연구 성과를 섭렵하고, 예제의 성립과정을 고고학적으로 검토한 것이다. 예제가 국가 통치의 근간으로서 기능한 것이 중국 하상주(夏商周) 삼대 고대 문명의 특질이라 할 수 있으므로, 전 단계의 예제 형성과정을 고고학적으로 살펴보는 것은 매우 긴요한 일이다. 보편적 의례에서 출발한 예가 규범화⋅제도화 과정을 거치며 지위와 역할의 분별 기준으로서 예제화하고 국가 통치 시스템화 한 것이 중국 삼대 시기의 특징이다. 예제의 형성과정을 고고학적으로 검토하기 위해 편의상 삼대 이전 신석기시대 중·만기 자료들 을 예제건축, 묘장과 인생(人牲), 예기(토기와 옥기)라는 물질문화 범주로 나누어 검토하였다. 그 결과, 항축대지(夯築臺地)와 대형 건축물 축조, 관곽제 출현 및 유행, 대규모 인생과 순장의 등장, 비일상고급용기의발전, 예제성옥기의지역적발전및변화등삼대예제의성립과정을나타내 는 변화들이 고고자료 상에서 신석기시대 양사오문화(仰韶文化) 병행기부터 등장하지만, 규칙성, 반복성, 제한성, 보편성이라는 예제 성립의 기준을 충족하는 것은 룽산문화(龍山文化) 단계부터임 을 확인하였다. 또한, 각 범주별로 살핀 고고자료들(특히 기물들)이 독립적인 발전궤적을 보인다 기보다는 하나의 기술적, 사회적 혁신이 다른 혁신을 자극하며 룽산시대 예제 성립과정을 가속화 시켰을 것이라는 점을 폭포 모델(cascade model)을 원용하여 검토하였다.

This study aims to comprehend the contextual backdrop of research concerning the formation of civilization and nation in prehistoric and ancient China. The focus is specifically on the ritual system, with a thorough examination of archaeological findings and Chinese research outcomes. The archaeological exploration delves into the process of establishing this ritual system. Ritual system, viewed as the cornerstone of national governance, is deemed a distinguishing trait of the ancient Chinese civilizations during the Xia, Shang and Zhou Dynasties. Hence, it's imperative to scrutinize the earlier stages of ritual formation archaeologically. Initially rooted in ritual, it underwent a progression towards standardization and institutionalization, ultimately serving as a benchmark for social status and roles, and laying the foundation for a governance framework-a hallmark of the Three Dynasties era in China. To delve into the archaeological trajectory of ritual formation, materials from the middle and late Neolithic Age preceding the Three Dynasties were categorized into ritual architecture, tombs, human sacrifice, and ritual artifacts like pottery and jadeware. As a consequence, transformations such as the construction of rammed earth foundations and large buildings, the rise and prevalence of tombs featuring double wooden coffins, the advent of human sacrifices and funeral rites, the evolution of exceptional high-quality earthenware, and the regional shifts and developments in jadeware emerged. While these changes began to manifest during the parallel period of the Yangshao Culture in the Neolithic Age, it has been confirmed that they became standardized and regularized starting from the Longshan Culture stage.

Ⅰ. 머리말

Ⅱ. 禮와 禮制, 禮器

Ⅲ. 예제 형성과정에 대한 고고학적 검토

Ⅳ. 중국 예제 성립의 고고학적 평가와 과정적 이해

Ⅴ. 맺음말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