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31년 조사된 일명 ‘채협총’(남정리 116호분)의 대표유물인 낙랑채협은 뚜껑이 있는 대바구 니 상자로 100여 인에 가까운 인물이 그려진 채색칠화가 전하며 그 중 36명에는 누구인지를 밝히 는 방제(傍題)도 남아있다. 그 뛰어난 예술성과 양호한 보존 상태에도 불구하고 낙랑채협의 인물 도에 대한 종합적 연구는 이뤄지지 못했고 방제의 판독 역시 초보적인 부분에 멈춰있다. 다만, 인 물도에 효자로 알려진 인물들이 많아 낙랑군에 유교가 유행했음을 보여주는 유물로 이해되어 왔을 뿐이다. 본 논문은 지금까지 축적된 한대 간독(簡牘)과 효자전(孝子傳)의 전파와 변형에 대한 해 외의 연구 성과를 충분히 참조하여 낙랑채협 인물도의 도상과 방제를 재검토하고 채협총에서 낙랑 채협이 가지는 의미에 대해서 고찰함으로써 낙랑인이 가졌던 종교사상적 측면을 들여다 보고자 했 다. 그결과, 알려진대로낙랑채협의도상에는효와관련된내용이가장많으나그효의성격은 비혈연 관계에서도 존재할 수 있었으며 잔인한 혈족복수가 사회적으로 용인되고 신명을 감동시키 는 도구적·주술적 성격도 있었음을 알 수 있었다. 특히, 인물도에서 오제(五帝) 중 ‘적제(赤帝)’와 ‘청오(靑烏)’라는 인물을 새롭게 읽어 오행사상과 풍수술에 대한 인식이 채협총의 조성에도 영 향을 미쳤을 것으로 보았다. 이런 점들을 고려하면, 낙랑채협은 생활용품이 아닌 장례 기물로서 주문 제작된 것으로 중국 장강 유역과의 교류 속에서 수입되었을 가능성이 높다.
The “Painted Lacquered Basket of Nangnang,” excavated from Tomb Namjŏngni No. 116 in Pyongyang, is a lidded bamboo basket box adorned with over a hundred figures depicted in colored lacquer. Inscriptions accompanying 36 of these figures identify them. Despite its exceptional artistic quality and good preservation, comprehensive research on these figures has been lacking, and the interpretation of the inscriptions remains rudimentary. This study challenges the existing view that the basket demonstrates the prevalence of Confucianism in the Nangnang commandery. It reevaluates the images and inscriptions through extensive reference to international research on the transmission and transformation of filial piety. Additionally, it discusses the significance of the Painted Lacquered Basket of Nangnang within the context of Tomb Namjŏngni No. 116, aiming to explore the religious and philosophical aspects of the Nangnang people. The study reveals that while the depictions in the Painted Lacquered Basket primarily pertain to filial piety, this virtue could exist beyond blood relationships and serve both secular and religious purposes. Moreover, it suggests that brutal family revenge was socially unsanctioned. Notably, the analysis includes new interpretations of figures such as the “Five Emperors (五帝)” and “Qīngwū (靑烏),” indicating the influence of geomancy beliefs on the creation of the tomb. Considering these factors, it is proposed that the Painted Lacquered Basket of Nangnang was crafted not as a domestic item but as a funerary object, likely imported through exchanges with the Yangtze River basin in China.
Ⅰ. 머리말
Ⅱ. 도상의 분석
Ⅲ. 인물도의 의미
Ⅳ. 채협총과 낙랑채협
Ⅴ. 맺음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