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류는 삶 이후의 시간, 곧 죽음을 맞이하는 공간으로 ‘무덤’을 택하였다. 즉, 삶보다 더 긴 시간을 보내는 공간이 무덤인 셈인데그, 중 건축 재료로 쓰였던 기와를 이용해 만든 무덤을 와관묘라고 한다. 그동안 학계에서는 와관묘가 크게 주목받지 못 하였으나, 최근 조사 예가 증가하고 있다. 본고에서는 우선 현황 조사를 한 뒤 무덤의 규모 및 장단비, 입지 및 장축 방향, 형식 분류 및 편년, 부장품 및 부장양상 등을 살펴보았다. 이를 통해 크게 백제 문화권과 신라 문화권의 와관묘사이에 차이점이 적지 않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더불어 와관묘가 처음 만들어진 중국의 사례를 살펴보고, 백제에서 와관묘가 등장하는 위진남 북조시대의 사회상을 살펴보았다. 그 결과, 중국 남조와 밀접한 관계에 있었던 백제가 사회 각 분 야에 걸쳐 기술교류를 지속했고, 불교와 사원 조영, 반도염요와 새로운 기와 제작 기술 등을 받아들였음을 확인하였다. 그 과정에서 백제로 유입된 와관묘는 이후 신라에도 전해지게 되었고, 재지화를 거쳐 두 문화권의 와관묘가 서로 다른 형태로 자리 잡게 되었음을 확인하였다. 본래 중국에서 유아묘로 주로 쓰 였던 와관묘 피장자의 성격 또한 이러한 변화와 맞물려 이해해야 하며, 폭넓은 시각으로 해석할 필요가 있겠다.
Humanity chose ‘a tomb’ as the time after life, that is, a space to face death. In other words, a tomb is a space where people spend longer than life, and among them, a tomb made of tile used as a building material can be called a Tile Coffin Tombs. Until now, tiled coffin tombs have not received much attention in academia, but recent research cases are increasing. Accordingly, after conducting a survey on the current status, the size and longitudinal ratio of the tomb, the location and direction of the major axis, type classification and year, and burial products and burial patterns were examined. Through this, it was confirmed that there are not a few differences betweenthe tiled tombs of Baekje and Silla cultures. In addition, we looked at the case of China, where Tile Coffin Tombs was first created, and the social image of the Wei, jin, Northern and Southern dynasties in which Tile Coffin Tombs appeared in Baekje. As a result, it was confirmed that Baekje, which had a close relationship with the Chinese Southern Dynasties, continued to exchange technologies in various fields of society and received Buddhism and temples, half-down draft kiln, and new roof tile production techniques. In the process, it was confirmed that the tiled coffin tomb that was introduced into Baekje was later transmitted to Silla, and that through re-localization, the tiled coffin tomb of the two cultures came to be established in different forms. The nature of burial in tile-coffin tombs, which were originally mainly used as infant graves in China, must also be understood in conjunction with these changes and need to be interpreted from a broad perspective.
Ⅰ. 머리말
Ⅱ. 연구사
Ⅲ. 삼국~통일신라시대 와관묘개요
Ⅳ. 와관묘의 의의와 성격
Ⅴ. 맺음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