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朱熹의 『孟子集註』와 鄭齊斗의 『孟子說』의 주석 중 특히, 호연장 주석을 비교ㆍ분석하여 정제두의 맹자주석의 성격을 규명하고자 하였다. 근래의 鄭齊斗에 관한 연구는 그간에 미해결된 문제들을 재검토하거나 사상에 대해 세부적으로 논의하는 등, 그 폭과 깊이를 더하고 있다. 이러한 가운데에 경학 저술을 정제두 사상 연구의 보조 자료 만으로가 아닌 경학저술 자체로서 다룬 경우는 드물다. 晩年의 저술인 『四書』에 대한 註釋은 조선시대 경학사에 균형감각을 되찾아 줄 수 있는 하나의 독자적인 영역을 차지하고 있으며, 이러한 史的 위상이 아직 분명히 정립되지 못하였다고 생각된다. 이 주석들이 주자학과 양명학의 사이에서 그의 사상적 위치를 파악해 볼 수 있는 좋은 자료가 됨은 물론이다. 본고에서 다룰 『맹자설』에서 정제두는 주로 주희의 『집주』의 설의 오류를 지적하고 그에 대응하면서 주석을 하였다. 그러므로 『집주』와 『맹자설』에 대한 구체적으로 비교 고찰하여 정제두 주석의 의도와 성과를 확인하고자 한다. 朱熹의 ‘浩然章’ 주해는 養氣 공부를 第一義로 보지 않았던 二程의 생각을 계승하고 있다. 氣를 잘 기르는 것을 사람이 義를 실행할 때에 의심하거나 꺼리지 않고 용감하고 결단력 있게 해 주는 수단으로서 논한다. 이것은 ‘養氣’를 독립된 공부로 보지 않고 道義가 제대로 행해질 수 있도록 돕는 부수적인 일로 본 것이다. 정제두의 ‘浩然章’ 주해는 義를 모으는 것이 氣를 생성해 내는 근본이라고 하였고, 의와 기는 도움을 주고받는 별개의 개체가 아니라 합하여 하나로서 존재하는 것이라고 하였다. 氣가 良知의 보편성을 실행하는 구체적 재료라고 하여 중시하는 양명학적 입장에 있는 것이다. 정제두는 浩然之氣를 義와 합하여서 존재하는 도덕수양의 내재원천으로서 인식하고, 이를 발굴하고 보유ㆍ확충하여 끊임없이 흐르도록 하는 配義與道의 방법론에 주목하였다. 그리고 무엇보다도 朱熹가 모든 공부를 두 가지로 나누어 생각하는 것을 비판하고, 그러한 시각으로 인해 올바른 경전 주해를 할 수 없었다고 하였다. 『맹지설』은 학술을 밝히는 대안으로서 양명학설을 구체적으로 제시하고 그에 입각하여 논의를 전개한 저술이며, 그 가운데 ‘호연장’ 주석은 이러한 취지를 견지하여 서술한 『맹자설』의 핵심부분이라고 할 수 있을 것이다.
This study was an attempt to discuss about Hakok Jungjedu's learning of Canonical Classics according to analysis and comparison about explanatory notes of『Mengzijizhu(孟子集說)』 by zhuxi(朱熹) and 『Mengzishuo(孟子說)』 By Jungjedu. specially 'Haoran(浩然)chapter'. Jungjedu related research is a development of the detailed discussion about his philosophy this year, but in learning of Canonical Classics it is still not enough in my opinion.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project is to complement Jungjedu related. research and also deduce the meaning of Jungjedu explanatory notes. As the work at the latter part of his life. His explanatory notes about 『The Four Books』are not only the evidence of his insisting on the philosophy of Yangming until his latter days, but also as the good study resource of his special ideological position, related analysis is very necessary. Since Jungjedu pointed out 『Jizhu(集註)』's mistakes and accordingly make explanatory notes, as the comparison and analysis of two explanatory notes this research can tell us the purpose and result of Jungjedu's explanatory notes. zhuxi succeeded Er Cheng(二程)'s thinking that didn't take serious view of Yangqi Gongfu(養氣工夫) in his 'Haoran(浩然)chapter' explanatory notes. According to their explanations, when people fulfillment justice with Qi(氣), they will not be doubt and reluctant, on the contrary they will do the things with courage and quick decision. It is not the independent study of Yangqi(養氣), but a consequent way to hel p practice Daoyi(道義) properly. To collect Yi(義) is the basement of forming Qi(氣) in Jungjedu's 'Haoran(浩然)Chapter' note. Yi(義) and Qi(氣) are not independent. Yi(義) and Qi(氣) are existing in one unit. Qi(氣) is a concrete resource to practice universality of intuitive ability to know right or wrong. This is also the standpoint of the philosophy of Yangming. In the opinion of Jungjedu, the vast flowing spirit(浩然之氣) together with Yi(義) is the internal origin of moral training. Therefore he paid attention to discover and develop it. constantly come up with Peiyiyudao(配義與道) as the methodology.
Ⅰ. 서론
Ⅱ. 본론
Ⅲ. 결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