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고려대학교 한자한문연구소.jpg
학술저널

17-18세기 조선 문인의 蘇軾 산문 批評

A study of critiques about Su Shi's prose during 17th and 18th century

  • 6

중국 北宋代 작가 蘇軾의 산문은 고려중기 이래 한국 산문사에 지대한 영향을 끼쳐왔다. 그러나 그 영향의 의미와 양상은 시대에 따라 변화를 보인다. 본고가 대상으로 한 17-18세기는 산문비평에 있어서 본격화와 다양화가 돋보이는 시기로서, 소식 산문에 대한 평가 역시 서로 일치되지 않는 몇 가지 입장으로 갈라지는 양상을 보인다. 그 가운데 비평사적 의미를 지니는 현상으로 본고는 두 가지 양상에 주목하였다. 첫째는 정통 古文의 미의식을 추구하는 입장에서 소식 산문을 재평가하는 것이다. 이는 소식 산문을 과거시험 준비용으로만 공부하는 세태에 대한 비판적 시각에서 출발한다. 이런 입장에 선 비평은, 당송고문의 하나로 학습되어오던 소식 산문에 대해 분별적 비평을 가하여, 주로 議論文類에 보이는 ‘通變’의 수사와 명징한 논리력에서 소식 산문의 진가를 찾는다. 둘째는 당송고문가로서의 소식의 면모와는 다른 방향에서 소식 산문이 보여준 소품적 특성에 주목하는 경향이다. 소식 산문에 주어진 사상적 비판이 보다 강화되는 시대적 분위기에도 불구하고, 비교적 사상적으로 자유롭고 문예적 취향이 강한 인사들 사이에서 소식 산문이 재발견된 셈이다. 이런 입장의 비평은 산문이 갈 수 있는 서정성과 함축성의 가능성을 소식 산문에서 찾고자 하였다. 두 가지는 서로 다른 미의식을 지향하였고 따라서 소식 산문 가운데 전범으로 삼고자 한 작품도 상이했지만, 각기 이 시기 산문비평사에서 중대한 의미를 지닌다.

Su Shi(蘇軾) had largely influenced to the prosaic history of Korea continuously since the middle of Koryo(高麗) Dynasty. And the meanings and aspects were various according to the times. I focused on 17th and 18th century because many prosaic critiques were produced during that period. Critiques about Su Shi were also diversified and detailed at that time. Among them, I gazed at primary two aspects. First one is the revaluation about Su Shi's proses in a standpoint of pursuit of ancient style writings. Most of them were discussing style proses. In this case, such critiques blamed the people who just wanted to study Su Shi's prose as an expedient of passing the state examination. Some critics stood this side classified Su Shi's proses minutely, then judged that variety and vigor are the true worth of his proses. Second one is the attention about the literary sketches. Most of them were letter style proses. Though many critics blamed about the deviation from Sung Confucianism what Su Shi had, some critics stood this side valued highly about this kind of proses. Critics suggested different standard as above two aspects pursued each way, however those aspects are meaningful for the study of the prosaic history of that period.

Ⅰ. 소식 산문의 다면성과 그 비평사적 논점

Ⅱ. 科文과 古文 : 豪逸한 議論과 無法之法

Ⅲ. 實과 虛 : 抒情散文의 가능성과 小品的 취향

Ⅳ. 소식 산문 비평과 17-18세기 조선 산문사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