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고는 문집 소재 청량산 유산기를 조사하여 현재까지 수집한 60여편 중, 18세기의 작품을 분석하여 그 미적 특질을 밝혀보았다. 청량산 유산은 특히 청량산 주변 지역 사대부의 지역문화에 대한 귀속성, 연대의식, 자부심을 배경으로 이루어졌다. 18세기의 청량산 유산기를 작가가 유산할 당시의 연령별로 분류하여 보면 20대 중반부터 60대 중반까지 다양하게 고루 분포되어 있음을 볼 수 있다. 청량산에 대한 유산자들의 유가적, 도학적 의미 부여는 이미 16세기부터 20세기까지 매우 일관되게 선명하게 나타난다. 조선후기의 다른 유산기들이 精神美의 추구에서 自然美 감상으로 변화하고 있었음에도 불구하고, 청량산 유산기는 여전히 정신미 추구를 강하게 보여준다. 그래서 18세기 청량산 유산기의 가장 큰 특징 역시 청량산을 도덕적 공간으로 승화시키는 작업의 지속에서 찾을 수 있다. 청량산 유산기를 읽다보면 유자들의 언사가 지나치게 비판적, 논쟁적이라는 느낌을 갖게 되는 장면을 종종 만난다. 특히 청량산을 유산하는 길이나 묵었던 절에서 만난 중과 대화를 할 때의 태도, 청량산에 퍼져있는 불교 관련 설화를 대할 때의 태도, 유가적 이념ㆍ도덕과 배치되는 인물과 그들의 행동을 대할 때 비판적, 논쟁적 어조와 문체가 확연히 드러난다. 청량산 곳곳의 설화나 전설이 유가의 이념과 규범에 맞지 않을 경우, 퇴계가 올라 吾家之山으로 부른 곳에서 중들이 불교 관련 설화를 퍼트리며 살고 있는 것을 보면 유자들은 날카로운 비판을 던진다. 비판적, 냉소적 어조를 거쳐 청량산을 유자의 산으로 채색하는 과정의 완성은 豪爽한 기운과 雄渾한 풍격 추구로 나타났다. 대표적인 것이 주세붕의 글이다. 청량산 유산기 작가들은 거의 대부분 주세붕의 청량산 유록을 유산기의 전범으로 인식하고 모방을 하였다.
This study was on the essay about travelling on Cheongryang mountain and was an analysis on 8 pieces of 18th century literature out of a collection of 60 pieces of literature in which the beauty characteristics were determined. The background of the essay regarding travelling on Cheongryang Mountain is the feeling of belonging to the local culture, mateship, and the pride of the gentry in the local area. The ages of the authors of the 18th century essays on travelling on Cheongryang Mountain vary from the mid 20s to mid 60s. The Confucius and ethical meanings of Cheongryang Mountain by the authors are very clear from the 16th century until the 20th century. Even though the traveling essays changed from the pursuit of spiritual beauty to enjoying the beauty of nature at the end of the Choseon period, the essays on travelling on Cheongryang Mountain still strongly show the pursuit of spiritual beauty. Therefore, the most dominant characteristic of the essays in 18th century can be found in the continuity of the sublimation of Cheongryang Mountain to the moral space. The essays often show too much of the critical and argumentive talk of the Confucians. Especially. the essays clearly show the authors' attitude when they talk to a monk whom they met on the street or at a Buddist temple. when they hear Buddhist related stories regarding Cheongryang Mountain. and their critical and argumentative tone and talking style when they meet people with differing ideas and morals about Confucius. Confucians were very critical about the monks who told the stories or the legends they heard legends floating around Cheongryang Mountain that did not match the Confucian ideas or rules. so they went to the mountain that Tyegae called “My Mountain” and lived there and told Buddha related stories. The process of completing Cheongryang Mountain as a Confucius mountain through the critical and cold tone of voice is shown from the heroic atmosphere and the pursuit of grand and distinctive characters. The most representative essay is by Ju, Seboong. Most of the authors of the essays about travelling on Cheonagryang Mountain recognized Ju's Cheongryang Mountain travelling record as a model and imitated it.
Ⅰ. 문제 제기
Ⅱ. 청량산 유산의 시기와 그 의미
Ⅲ. 遊山과 도덕적 주체의 심미 체험
Ⅳ. 호상한 기운과 웅혼한 풍격 추구
Ⅴ. 마무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