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연구의 목적은 각 한자를 여러 가지 기준에 의해 분석하여 초등학교 한자 교육을 위해 필요한 한자를 새롭게 선정하는 것이다. 우리나라에서 초등학교 한자 교육을 위해 사용되는 한자는 대체로 600자 내외이다. 서울초등한문교육연구회와 한국한문교육학회에서 각각 초급용 한자 600자를 정해 발표하였다. 이외 각종 공인 한자 검정 기관에서 자체적으로 초급용 한자의 수량과 급간을 정해서 한자 시험의 기준으로 이용하고 있다. 하지만 이처럼 각 기관 및 단체에서 제시하고 있는 초급용 한자의 경우, 600자로 字量을 한정한 근거가 명확하지 않거나 字量 확정의 선행작업이라고 할 수 있는 각 한자의 학습 용이도 및 중요도에 대한 기준과 근거가 제시되어 있지 않다. 일부의 경우, 한자 사용 빈도수 등의 기준에 따라 초급용 한자를 선정하였다고 밝히고 있지만, 그것의 구체적인 기준과 내용이 제시되어 있지 않은 것이 현재의 실정이다. 이러한 문제점을 인식하면서, 본고에서는 중학교 한문교육용 기초한 자 900자를 대상으로 常用度와 難易度를 고려하여 점수를 부여한 후 等位를 매기고, 이 가운데 높은 점수를 받은 순서로 뽑은 600자를 초급 한자로 선정하였다. 상용도와 난이도를 구분하기 위한 구체적인 기준으로는 초등학교 교과서에 사용된 한자 및 한자어의 사용 빈도에 따른 순위, 각 한자가 가진 여러 가지 뜻 가운데 일상생활에서 자주 사용되는 뜻에 해당하는 품사, 조자 원리, 자형 구조, 획수를 제시하였으며, 이에 따라 각 한자에 대하여 점수를 부여했다. 이상의 기준에 의해 부여된 점수를 총합하여 각 한자의 총점을 산정하고, 점수가 높은 순서로 배열한 후 상위 600자를 뽑아서, 이것을 <高麗大學校 漢字漢文硏究所 選定 初級用 漢字>로 확정하였다. 본고는 기존의 초급용 한자 선정 과정에서 간과하였던 구체적인 기준에 근거하여 한자 선정을 진행하였던 점에 연구의 의의를 부여할 수 있다. 다만, 초급용 한자 선정에 있어서 그 목표를 한문 독해력 신장에 두느냐 언어생활에 필요한 어휘력 신장에 두느냐에 따라 초급용 한자선정을 위한 기초 한자의 範圍나 數量이 상이해야 할 것이다.
This article is intended to rank the basic 900 Chinese characters for Midddle school Chinese Classics education after giving scores to them, in consideration of common use and difficulty degree, and to select 600 characters among them in the order getting high score as a basic Chinese characters. As a concrete basis for dividing common use and difficulty degree, there are the order according to Chinese characters and a word written in Chinese characters used in an elementary school textbook, part of speech, principle of a particle in classical Chinese, structure of chape of character and stroke count which are frequently used in a daily life. By totaling the scores granted by this basis and selecting 600 characters after arranging them in the order of high score, the selected characters are determined as the basic Chinese characters selected by Korea University Chinese characters Research Institute. This study is significant in that the basis of Chinese characters was concretely established by supplementing the limit that concrete basis was overlooked in the process of selecting basic Chinese characters.
Ⅰ. 서 론
Ⅱ. 선행 연구 분석
Ⅲ. 초급 한자 선정 방안
Ⅳ. 초급 한자 선정 및 급수별 배정 한자 확정
Ⅴ. 결 론